아프리카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서 열린 'TAS 2017' 전시부스에 방문한 관람객이 KT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살펴보고 있다. / KT
KT가 글로벌 헬스케어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KT는 한국형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르완다에서 열리는 국제IT 컨퍼런스에 전시하고, 아프리카에서 원격의료 인프라를 국축하는 등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국제IT 컨퍼런스인 'TAS 2017(Transform Africa Summit 2017)'는 10일부터 12일까지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서 열린다. 2013년부터 르완다 정부와 ITU(국제전기통신연합)가 공동 주관해 아프리카 정상들과 주요 IT기업들이 꾸준히 참석해 온 컨퍼런스다. 올해는 스마트 시티를 주제로 아프리카 주요국 정·관계 인사 약 300여 명이 참석했다.
KT는 현지 자회사인 AOS(Africa Olleh Service Ltd.)와 함께 부스를 마련했다. 이를 통해 헬스케어 플랫폼과 연동되는 모바일 진단기기 4종과 이를 기반으로 각 마을의 보건소와 지역병원, 그리고 국립병원을 연결하는 'KT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선보였다.
'KT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은 HIV, 말라리아 등 주요 전염병에 대한 조기 진단과 빠른 대응, 모자보건 환경을 개선한다. 회사 측은 영아 및 모성사망률 감소, 만성질환 환자 관리 등을 통해 격오지의 의료사각 해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윤전 KT 미래사업개발단장 상무는 "TAS 2017 참여를 통해 우간다 헬스케어 사업자인 CCS와 시범사업에 합의하는 등 KT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의 우수성을 아프리카에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향후 KT 헬스케어 플랫폼 기반 모바일 진단기기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며, 향후 축적된 진단 데이터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말라리아, HIV 등 아프리카의 난제를 ICT 기술을 통해 개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2016년 7월 르완다 키갈리 국립대학병원과 디지털 헬스케어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아프리카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바 있다. 지난 4월 연 방글라데시 기가 아일랜드에는 상반기 중 연세의료원과 기가아일랜드 디지털 헬스케어 고도화사업을 추진해 섬 주민들을 대상으로 의료 데이터 기반 원격의료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 디지털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