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5월에만 8조5000억원에 달하는 빚을 제때 갚을 지 관심이다. 경기 침체와 신용등급 하락에 대한 우려로 은행들의 돈 빌리기가 힘겨워지고 있어서다.
특히 지난해 미국의 12월 금리 인상을 시작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경쟁적으로 돈을 풀던 세계 주요국이 내년에 잇따라 '돈줄 죄기'에 나선 점도 부담이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한국 등 아시아 신흥국의 가산금리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5월 은행채 만기도래 물량은 8조5000억원 규모다. 이는 전달 3조4000억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많다.
예대율과 풍부한 유동성만 놓고 보면 무리 없이 빚을 갚을 수 있을 전망이다.
예대율은 빠른 예금 증가와 대출 증가 속도 억제가 맞물리면서 하락하고 있다. 시중은행(국민, 신한, 우리, 하나)들의 예대율(4대 은행 평균치)은 2015년 91.7%에서 2016년 88.7%로 3.0%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총여신 증가(3.2%)에 비해 총수신 증가(6.6%)가 더 컸던 영향으로 분석된다. 2016년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의 예대율은 각각 2015년 대비 3.4%포인트, 0.7%포인트 축소된 89.3%, 86.6%를 기록했다.
은행 금고에는 돈이 쌓여 있다.
예금보험공사에 지난해 은행과 보험사, 저축은행 등 예보의 보장을 받는 국내 금융회사(부보금융회사)들의 지난해 말 부보예금 잔액은 1900조2000억원으로 전년보다 8.4%(147조8000억원) 늘었다. 특히 저금리로 인한 대기성 자금 유입 등으로 시중은행들은 전년 말보다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 잔액이 각각 13.5%(18조2000억원), 6.2%(51조7000억원) 늘었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가계와 기업이 요구불예금에 돈을 묶어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1.25%로 하락하는 등 초저금리 상태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지만 수익률이 높은 금융상품은 찾기 어려운 상태다.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채에 대한 대접도 아직은 괜찮은 편이다. 우리은행은 지난 9일 5억 달러 규모의 바젤3 기준 외화 신종자본증권(코코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발행금리는 연 5.25%이다. 올해 발행된 글로벌 신종자본증권의 평균 발행금리는 6.95%다. 155개 기관으로부터 최종 발행규모의 3배에 달하는 15억 달러의 투자자금이 모집돼 최초 제시 금리 대비 0.25%포인트 낮게 발행됐다.
그러나 걱정이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지난 10일 국내 은행에 대해 '부정적'이라며 신용 위험을 경고했다.
소피아 리 무디스 부사장은 "취약한 국내 소비심리와 대내외적인 정책 위험 확대로 경제성장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으며 대기업 매출도 압박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 부사장은 "무디스는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올해 2.5%, 내년 2.0%로 지난해의 2.7%보다 낮게 전망하고 있다"며 "새 정부 출범으로 가계부채와 기업 구조조정의 정책 방향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최근 낮아진 예대율과 풍부한 유동성으로 만기 부담은 크지 않다.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 영향이 국책은행으로 국한됨에 따라 시중은행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다"면서 "다만 새정부의 정책에 따라 하반기 자금 조달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