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새로나온책] 현명한 피·홀라크라시 外



82년생 김지영

민음사/조남주 지음

현재 차트 역주행을 달리고 있는 hot한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한국 여자의 인생 현장 보고서라해도 과언이 아니다. 서민들의 일상 속 비극을 사실적이면서 공감대 높은 스토리로 표현하는 작가 조남주는 이 책에서 82년생 '김지영 씨'의 기억을 바탕으로 30대를 살고 있는 한국 여성들의 보편적인 일상을 완벽하게 재현한다. 소설은 김지영 씨의 이야기를 들은 담당 의사가 그녀의 인생을 재구성해 기록한 리포트 형식이다. 리포트에 기록된 김지영 씨의 기억은 '여성'이라는 젠더적 기준으로 선별된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192쪽, 1만3000원.



세 살 버릇 여름까지 간다

마음산책/이기호 지음

이 책은 한 월간지에 2011년부터 3년 넘게 '유쾌한 기호씨네'라는 제목으로 연재했던 글을 엮은 것이다. 갈팡질팡과 조삼모사를 들락거리는 아빠와 현명하고 터프한 엄마, 사랑에 금방 빠지는 '문맹' 첫째 아이와 그림 그리기에 밤낮없이 몰입하는 둘째 아이, 아빠가 노래부르는 것을 좋아하는 셋째 아이. 세 아이들과 함께 비로소 자라나는 온 식구의 유쾌한 성장 일기가 진진하게 펼쳐진다.

248쪽, 1만2500원.



홀라크라시

흐름출판/브라이언 J. 로버트슨 지음

이 책의 주장은 명확하다. 기업의 창의력, 역동성, 문제해결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스(boss) 즉 관리자를 없애고 모든 구성원이 명확한 권한과 책임을 갖고 자율적으로 회사의 운영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것. 이를 통해 소수의 손에 권한과 책임이 집중되고, 사내 정치를 피할 수 없으며, 조직의 피라미드 아래로 내려갈수록 동기부여가 결여되는 전통적인 계층 구조를 근본적으로 혁신할 수 있다고 말한다.

312쪽, 1만6000원.



현명한 피

IVP/플래너리 오코너 지음

1964년 39세의 나이로 요절한 미국 작가 플래너리 오코너의 첫 번째 장편 소설이다. '현명한 피'는 보수적 종교성이 짙은 집안에서 태어난 헤이즐 모츠가 제대 후 미국 남부의 한 도시로 돌아와 여러 인물들을 만나면서 겪는 일화를 담은 작품이다. 기이하고 때로 극단적인 전개가 특징이기도 한 이 소설은 신학적 우의이자, 현대 문화 속에서 신이 차지하는 위치, 인간의 구원과 본성, 죄악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고찰이 담긴 희극이라 할 수 있다.

268쪽, 1만3000원.



어쩌면 내가 가장 듣고 싶었던 말

갤리온/정희재 지음

2010년에 출간된 '도시에서 살며 사랑하며 배우며'걷는나무)의 개정판인 이 책에는 애틋하고 빛나는 말들이 담겨있다. 괜찮은 척, 아무렇지 않은 척해 보지만, 우리는 누군가 자신의 이름을 불러 주기를, 참으로 애썼다고 진심 어린 칭찬의 말을 건네주길 간절히 원한다. 저자도 그런 시간을 겪어 봤기에, 스스로에게 응원의 말을 건네며 그 시절을 건너 왔기에, 비슷한 외로움을 겪는 이들에게 따뜻한 위로를 보낸다.

256쪽, 1만4000원.



고양이의 모든 것

살림/장 퀴블리에, 플로랑스 르모 지음

1만 년간 이어온 고양이와의 사랑과 우정을 멋진 편집과 사랑스러운 도판, 값진 내용으로 오롯이 담아낸 책이다. 고양이가 어떤 존재이며, 고양이와 우리의 관계는 어떠해야 하는지 등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빠져들 수밖에 없는 내용들로 가득 차있다. 역사적인 주제뿐 아니라 현실적인 주제, 놀이에 사용할 수 있는 재미있는 주제까지 총 26가지 키워드로 이야기를 풀어냈다.

100쪽, 1만8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