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7일 대미·대일 특사단을 파견하며 본격적인 '4강 외교'에 시동을 걸었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6개월간 멈춰있던 외교의 '정상화'에 방점을 찍고, 우방국에 새 정부의 철학과 비전을 설명하는데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미 특사인 홍석현 한반도포럼이사장(전 중앙일보·JTBC 회장)과 대일 특사인 문희상 전 국회부의장은 이날 오전 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각각 워싱턴과 도쿄로 출국했다.
특사들은 문 대통령의 친서를 미국과 일본 정상 또는 최고위급 관계자에 전달하고, 한미·한일 관계에 대한 새 정부의 구상을 설명한다. 또한 최근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북핵 문제를 포함한 대북 문제에 대한 공동대응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으로 향한 홍 특사는 지난 16일 매튜 포틴저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 보좌관과 우리 정부 당국자들의 회동 내용을 토대로 북핵 문제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문제 등에 대한 후속 조율을 하고, 이날 회동에서 6월말 개최하기로 합의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세부 계획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홍 특사는 이날 인천공항에서 출국전 기자들과 만나 "제일 중요한 것은 역시 한미 동맹과 북핵 해결 문제 등에 대한 미국과의 공유"라며 "서로 이해를 높이는 그런 문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해서 홍 특사는 "정상회담이 시기가 6월 말로 예정돼 있다. 그에 따른 후속조치에 대한 의논 등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홍 특사는 이번 방문에서 한미FTA 관련 양국간 의견이 오갈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는 "정식으로 우리 정부가 접수받은 바도 없고 정부나 기관끼리 대화가 아직 시작된 것 같지 않다"며 "한미FTA는 미국이 제기하지 않는 이상 우리가 먼저 언급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문 특사도 이날 3박 4일간의 방일 일정을 위해 출국길에 올랐다. 문 특사는 대북 문제에 대한 한·미·일 국가간 공조에 대해 집중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한일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서도 한국 내 부정적 여론을 전달하는 것도 '주요 미션'으로 부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특사는 이날 일본 하네다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특사단이 일본에 온 이유는 신정부 출범의 의미와 새로운 대외정책, 특히 대일 관계에 관한 신정부의 방침을 친서 형식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라면서 "한일 위안부 합의 문제를 포함해 대일 관계 정책에 관한 전반적인 미션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한일 위안부 문제에 대해 "거기에 대해 준비한 것이 있는데 지금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국민적 정서는 백 퍼센트 한·일 위안부 합의에 관해 용납이 안되는 분위기인데 그것을 그냥 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신정부 출범 후 바로 엎을 수도 없는 것이고, 그런 의미"라고 설명했다.
대북 문제와 관련한 한·미·일 공조에 대해서 문 특사는 "전혀 걱정할 것 없다. 신정부의 기본적인 틀도 한미 동맹, 그것을 기초로 하고, 한·미·일 공조를 외교정책의 기본으로 삼는다"면서, "그런데 있어서 균열이 생기거나 의심의 여지가 없다. 특히 북핵문제 해결에 관한 공조는 튼튼하게 더 강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