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다시 주목받는 우선주..."저렴한 비용으로 주주가치 제고"

#. 지난 4월 삼성전자는 지주회사를 포기했다. 지주회사로 전환하지 않기로 한 것. 사실상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작업을 완전히 중단한다는 의미여서 파장이 컸다. 지주사 전환은 계열사 간 지분보유를 통한 순환출자 고리를 끊고, 이재용 부회장을 중심으로 하는 지배구조를 확고하게 다질 수 있다는 점에서 유력한 승계작업의 하나로 여겨졌기에 더 그랬다. 삼성전자는 "향후에도 삼성전자는 지주사 전환 계획이 없다고 봐도 된다"고 밝혔다.

문재인정부가 출범하면서 변화의 바람이 거세다. 철저하게 파괴된 상식이 회복되고 비정상이 정상화하면서 신바람 나는 시장환경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특히 자본시장에선 '경제민주주의'가 강조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주사 전환을 포기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시장에서는 '경제민주주의' 바람으로 우선주가 대기업의 효자 노릇을 할 것으로 본다. 삼성·현대차·LG·롯데 등 대기업 입장에서 어떤 식으로 든 '경제민주주의'에 화답해야 한다. 또 경영권 승계나 방어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힘도 커졌다.

한국투자증권 강송철 연구원은 "어떤 식으로든 주주환원에 대한 요구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삼성전자의 사례에서 투자자들은 이를 이미 확인했다"고 말했다.

투자측면에서도 더는 '꿩(삼성전자) 대신 닭'이 아니다.

상장기업 자사주 매입 추이



◆우선주 매입·소각, 배당보다 세금 측면에서 유리

지난 2015년 10월 29일.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파격적 주주친화 정책'을 내놓는다. 11조3000억원의 자사 주식을 매입해 소각하기로 한 것. 재계에서는 파격적이라는 반응이었다. 삼성전자가 2000년부터 그해 1월까지 15년간(11차례)에 걸쳐 매입한 자사주 규모(15조8000억원)의 70%에 이르는 규모 때문이다.

그동안 삼성전자는 구글, 애플 등에 비해 '배당이 짜다'는 평을 들었다. 하지만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 당시 '엘리엇 사태'를 겪은 그룹 수뇌부가 주주 친화 정책 도입의 필요성을 절감했던 것.

재계 관계자는 "배당을 늘리면 외국인 지분이 절반이 넘는 삼성전자 구조상 국부 유출이 불가피하다는 판단 아래 자사주 소각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이라고 회고했다.

삼성전자는 우선주에 주목했다. 당시 1회차 매입에서 우선주 비중을 35%로 했다. 우선주 주가가 보통주보다 22% 낮은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어 우선주 매입 비중을 높임으로써 같은 금액으로 더 많은 수량의 주식을 소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은 우선주 주가가 보통주보다 10% 이상 낮을 경우 우선주 매입 비중을 높임으로써 동일한 금액으로 더 많은 주식을 소각할 계획도 밝혔다.

전문가들은 자본시장에서 '경제 민주주의'가 강조되면서 자사주 매입 소각 등 주주환원 요구가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기업 입장에서 우선주는 그만큼 매력적이다.

강 연구원은 "주주환원의 방법으로 자사주 매입·소각은 배당보다 세금 측면에서 유리하다, 대주주 입장에서는 자사주 소각으로 지분율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상당히 할인된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싼 비용으로 정부의 '경제 민주주의' 정책에 화답하면서 오너 일가의 지분율을 높일 수 있다는 얘기다. 현재 증시에 상장된 우선주의 주가는 보통주 대비 43% 가량 할인돼 거래된다. 지난 2006~2012년 할인율 70%보다는 비싸졌지만, 보통주보다 여전히 싸다.

대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소각도 늘어나는 추세다.

김우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 등이 한국증권학회지에 발표한 '한국 기업의 자사주 처분 및 소각에 관한 실증 연구' 논문에 따르면 기업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취득한 자사주를 보유하기보다는 처분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 지배구조(한국기업지배구조원 점수)가 좋거나 배당을 많이 하거나 이사회의 평가가 좋을수록 자사주 소각을 많이 했다.



◆저금리 시대 우선주가 좋아 보이는 이유

'사자니 찜찜하지만 배당을 보면 구미가 당긴다'.

주식시장에서 우선주를 바라보는 투자자의 시각이다. 그저 그런 주식으로 여겨졌던 '우선주'가 투자 측면에서도 재조명받고 있다. 가격이 많이 떨어진 데다 한국 기업의 투명성이 높아짐에 따라 재평가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미래에셋대우에 따르면 지난 4월 이후 우선주의 주가 상승률은 평균 18.9%였다. 이는 보통주보다 5.8%포인트 높은 수익률이다.

또 29개 우선주 중에서 22개 우선주가 보통주 수익률을 압도했다. 보통주의 주가 상승률 대비 5%포인트 이상 아웃퍼폼한 우선주는 14개에 달했다.

우선주 할인의 근본적 이유는 의결권 가치이다. 기업 투명성이 높을수록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은 축소되는 반면 소액주주의 이익훼손이 줄어들어 주주 간에 누릴 수 있는 기업가치의 차이가 없어진다.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은 보통주의 의결권 가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우명간 연구원은 "기업 지배구조 개편,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으로 중장기적으로 의결권 가치 하락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배당 측면에서도 매력적이다. 일반적으로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배당수익률이 높다. 우선주는 보통주보다 액면가의 1% 높은 배당금을 받고, 주가도 평균 40~50% 할인 받기 때문이다. 지난 2005년 이후 연도별 우선주와 보통주의 배당수익률 추이를 보면 우선주는 평균 1.5%~2%의 높은 배당수익률을 기록했다.



삼성전자가 좋은 예다. 삼성전자의 보통주와 우선주의 2017년 예상 배당수익률은 각각 1.7%, 2.1%이다. 배당수익률 스프레드는 0.4%포인트 수준이다(3년 평균 배당성향과 2017년 주당순이익(EPS) 예상치 사용). 삼성전자의 배당성향이 5%, 10% 상승한다면 배당수익률 스프레드는 각각 0.5%포인트, 0.7%포인트로 상승한다.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약 20% 할인 받기 때문이다.

LG우선주(보통주 대비 주가 할인율 53%)는 배당성향이 5%, 10% 상승할 때 배당수익률 스프레드는 각각 2.0%포인트, 2.4%포인트로 확대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