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톡스-대웅제약, 美서 보툴리눔 균주 놓고 공방
메디톡스가 미국에서 대웅제약이 자사의 보툴리눔 균주를 도용했다는 내용의 소송을 제기했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자사의 보툴리눔 균주를 도용했다는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한 바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메디톡스는 지난 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터 법원에 대웅제약, 알페온(대웅제약 미국 파트너사)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냈다.
메디톡스는 소장을 통해 자사 前직원 이모씨가 대웅제약의 연구개발 담당 직원을 통해 자사의 보툴리눔톡신 균주 정보를 전달하고 금전적 대가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12만달러(약 1억3500만원)를 받은 것으로 소장에 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이씨는 메디톡스에서 보툴리눔톡신 제제 '메디톡신'의 제조와 생산, 개발 등에 참여했으며 대웅제약이 보툴리눔톡신 제제를 출시할 수 있도록 자사의 영업기밀 일체를 넘겨줬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대웅제약은 "메디톡스가 미국에서 민사소송을 통해 제기한 주장은 허구"라며 "소송과정에서 모든 주장이 거짓임을 철저히 입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웅제약 측은 메디톡스가 법적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허가 받은 '나보타'에 대해 지속적으로 흠집내기를 시도하고 있으며 메디톡스 측이 지금까지 국내 수사기관에 진정 의뢰한 건이 모두 무혐의로 내사종결 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메디톡스가 국내에서의 지속적인 의혹제기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성과가 없자 보툴리눔톡신 의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민사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대웅제약의 해외 진출을 방해하기 위한 의도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앞서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등록한 보툴리눔 균주의 염기서열이 자사 균주와 100% 일치했으며 대웅제약에 염기서열 공개를 요구했다. 유전체 염기서열은 생물체의 유전정보를 나타내는 고유한 식별표지로 이것을 분석하면 어디에서 유래한 것인지 알 수 있다. 이에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자사의 보툴리눔 균주를 훔쳐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웅제약은 "메디톡스의 지속적인 음해에 대해 대응할 가치를 못 느꼈으나 이번 소송에 대해서는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법적 조치를 포함해 모든 책임을 철저하게 물을 것"이라고 전했다.
메디톡스가 자사 균주를 이삿짐에 숨겨 가져왔다고 방송에서 직접 밝히며 스스로 균주를 절취한 것이라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경쟁사를 음해하는 것은 정상적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행태라고 언급했다.
이어 "의약품은 효능 및 안전성으로 경쟁해야 하는 것"이라며 "국민건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내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키우고 무한 경쟁시장인 글로벌에 진출하는 것이 제약기업 본연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