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유통업계 상생경영 현주소
유통업계에 상생경영이 화두다. 문재인정부의 출범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의 취임 이후 경쟁에서 상생으로 변화했다. 공정위 칼끝이 유통업계 전반으로 확산됐기 때문이다. 공정위는 최근 올리브영을 비롯한 헬스앤뷰티(H&B) 전문점에 대해 실태점검을 벌였고 롯데하이마트 등 가전양판점의 불공정거래 관행을 조사했다. 여기에 백화점·대형마트 등의 법 위반 행위에 대한 과징금을 2배로 높이는 내용의 대규모유통업법 과징금 고시 개정안을 행정 예고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9일 진행된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규모유통업 규제대상 확대, 과징금 부과기준 강화 등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대형유통업체와 중소 납품업체 간 거래관행 개선방안은 ▲대형유통업체 불공정행위 단속·제재 강화 ▲납품업체 권익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유통업계의 자율 상생협력 유도 등을 정책방향으로 세부과제를 발굴 등이다.
이에 유통업계는 문재인정부에 화답을 하고 있다. 이마트는 3개 노조와 함께 '노사 상생 선포식'을 열었다. 노사가 회사의 동반 성장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한 것이다. 회사와 3개 노조는 상호 신뢰 바탕으로 갈등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 반성장을 위한 생산성 향상에 적극 협력 및 근로조건 개선 위한 노력, 정거래 및 노동관련 법 준수 등 3개 항목에 합의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노사간 협력적 기업문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 추구로 일자리도 늘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국민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리란 판단 때문"이라고 말했다.
신세계그룹과 부천시는 상동 영상문화단지에 백화점과 대형할인매장을 포함한 신세계복합쇼핑몰을 짓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인근 상인들의 반발로 단지 규모는 전반 가량 줄였지만 상인들의 반발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지역 상인회 등과 함께 상생발전 태스크포스(TF)를 구성, 상생 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현대백화점은 가든파이브를 상생형 쇼핑몰로 만들었다. 중소상인 250여명과 SH공사로부터 매장을 임차해 운영하는 데 매출액의 일부를 임차료 명목으로 지급하고 있다. 매출액이 증가하면 수수료율이 상승해 상인들의 임대료 수입이 더 커지는 구조로 가든파이브점 영업이 잘될수록 중소상인들에게 더 큰 이익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유통업체의 상생경영 노력에도 시선은 곱지 않다. 매번 반복되는 정부 코드맞추기성 정책이라는 것이다. 앞으로 유통업계는 일회적인 정책이 아닌 지속 가능한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