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살인자의 기억법' 원신연 "원작과 다른 점은…"

'살인자의 기억법' 제작발표회 모습/쇼박스 제공



'살인자의 기억법' 원신연 "원작과 다른 점은…"

김영하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 대한민국 독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은 베스트셀러를 원신연 감독은 어떻게 영화로 구현했을까.

28일 서울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감독 원신연) 언론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원신연 감독을 비롯해 배우 설경구, 김설현, 김남길이 참석했다.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예전에는 연쇄살인범이었지만 지금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병수(설경구)가 새로운 연쇄살인범 태주(김남길)과 마주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작품이다. 하나뿐인 딸 은희(김설현)의 곁을 맴도는 태주와 딸을 지키려고 애쓰는 병수의 대결과 동시에 자신의 기억을 어디까지 믿어야할지 혼란스러워하는 주인공의 내적 갈등이 생생하게 그려진다.

원신연 감독은 원작의 색깔을 살리기 위해 일부 소설 속 문장을 그대로 반영, 영화의 내레이션으로 사용했다.원 감독은 "소설의 문장, 문체, 독백을 영화에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변화를 줘서 전혀 다른 영화를 만들 수도 있었지만, 소설을 읽으면서 마음 먹은 게 '소설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가장 먼 영화로 만들겠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아무래도 소설 내용이 많이 반영돼있다"면서 "소설을 보지 않은 분들이 영화를 봐도 무리가 전혀 없게 반영하고 녹여내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소설은 소설, 영화는 영화'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소설을 읽으면서 크게 느꼈던 부분은 그 자체가 소설이기에 매력적이었습니다. 주인공 병수를 향한 연민이 관객에게 크게 다가올 수 있게 각색에 심혈을 기울였습니다. 물론, 살인범이기 때문에 병수를 응원하기 쉽지 않겠지만, 그 캐릭터는 사람을 매료시키는 매력이 있었죠. 그게 바로 소설이 가진 매력이었던 것 같아요. 영화로 만들겠다고 다짐하면서부터는 적어도 (관객이) 응원할 수 있는 캐릭터는 있어야하지 않을까 싶어 병수가 주인공이 될 수 있게 포커스를 뒀어요."(원신연 감독)

원작과 다른 점에 대해서는 "원작에서는 태주가 서브적인 역할이었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많은 축으로 캐릭터를 그려져야 했기 때문에 태주의 비중을 늘렸다"고 말했다.

그리고 "태주 그 자체의 인물이기도 하지만, 김병수의 또 다른 자아로 보일 수도 있게끔했다"고 덧붙였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연쇄살인마라는 파격적인 소재와 새로운 연쇄살인범의 등장 이후 숨 쉴 틈 엇이 몰아치는 전개, 반전 결말까지 하나도 빼놓지 않은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9월 7일 개봉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