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궤양환자 연평균 5.7% 감소…"경제수준 향상 위생상태 호전"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위생 상태가 호전되면서 위궤양 환자가 연평균 5.7% 감소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위궤양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이 2011년 133만8000명에서 2016년 99만9000명으로 연평균 5.7% 줄었다고 3일 밝혔다.
성별로는 남성은 2011년 61만9000명에서 2016년 46만7000명으로 연평균 5.5%, 여성은 2011년 72만명에서 2016년 53만2000명으로 연평균 5.9% 감소했다.
서정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최근 6년간 위궤양 진료환자가 감소하는 이유에 대해 "위궤양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헬리코박터 감염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경제수준 향상으로 위생상태가 호전되어 헬리코박터 균에 감염된 인구수가 점차 감소하는 것이 위궤양 환자가 줄어드는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기준 연령대별 진료환자 구성비를 살펴보면, 50대(24.6%)가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20.7%), 40대(18.8%) 순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40대 이후부터 위궤양 환자가 급격히 증가한 이유에 대해 "40대 이후 연령대에서 헬리코박터 감염률이 높고,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증가와 과도한 음주나 흡연 등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위궤양은 위벽이 패인 듯한 형태의 상처가 점막하층까지 손상시키고 심하면 근육층까지 노출되는 질환이다. 위궤양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인데 이 균에 감염된 경우 매년 1%에서 궤양이 발생하며 감염되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6~10배 정도 발병률이 높아진다. 다른 원인으로는 노인 환자에서 복용이 증가하고 있는 아스피린 같은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다. 이외에 지나친 음주, 흡연, 커피, 정신적 스트레스 등도 위궤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서 교수는 "병이 악화되어 위벽전체가 헐게 되면 천공이 발생하여 복막염으로 진행되고 개복수술을 해야한다"며 "또한 위궤양의 저부에 혈관이 노출되면 위출혈이 발생하여 수혈이나 내시경적 지혈술 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치료는 4∼8주간 위산분비 억제제, 궤양의 치유를 돕는 점막 보호인자, 제산제 등을 복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헬리코박터균이 있으면 재발률이 50∼60%에 이르기 때문에 항생제와 위산 억제제 등을 1∼2주간 복용하고, 8주 후에 균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한다.
위궤양의 예방법은 위산분비를 촉진하는 생활요인은 정신적 스트레스와 담배이기 때문에 위궤양을 치료하고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하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고 반드시 금연을 해야 한다. 또한 평상 시 적절한 식사량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식사시간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술은 위산분비를 자극할 뿐 아니라 도수가 높은 술은 직접 위 점막을 손상시키므로 가능한 절제해야하고, 커피와 같은 카페인 함유 음료, 강한 향신료가 첨가된 음식, 아주 차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