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대 유해성 논란 확산…정치권, 시민단체 "화학물질 전 성분 조사 촉구
"휘발성 유기화합물 외에도 전 성분을 조사하고 역학 조사를 시행하라."
생리대 유해성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와 업계, 시민단체의 주장이 엇갈리면서 누구말을 믿어야 할지 소비자들의 혼란과 불안만 커져가고 있다.
여성환경연대는 5일 생리대에 든 모든 화학물질을 조사하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사실상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1회용 생리대가 위해 여부에 대한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여성환경연대가 이날 정부 서울청사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외에도 전 성분을 조사함으로써 생리대 유해성분을 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생리대 제품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검출 시험 대상을 10종에서 86종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여성환경연대 측은 "해외 보고서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뿐 아니라 다이옥신, 퓨란, 잔류 농약, 향류 등이 검출될 수 있다"며 "정부는 생리대 사태를 축소하지 말고, 안전한 생리대와 전반적인 여성건강 대책을 마련하고, 나아가 근본적인 생활용품 전반에 대한 점검과 사전예방의 관점에서 화학물질 관리 체계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 "건강하고 안전한 생리대는 여성이 누려야 할 최소한의 기본 인권"이라며 "그러나 이미 많은 여성들이 생리대 부작용을 호소하고, 건강을 염려하고 있다. 일회용 생리대와 건강 부작용 간의 관계는 철저한 역학조사를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다"고 전했다.
여성환경연대 측은 "정부뿐 아니라, 기업도 안전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며 "정부는 유해화학물질 등록과 평가를 면밀히 하는 등 화학물질을 통합관리하고, 기업은 기업의 이윤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최우선에 두고, 안전성이 입증된 물질만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기야 정치권도 유해성 논란에 가세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이날 생리대 실태조사를 위한 민관공동조사위원회 구성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생리대 전수조사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에 맡기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는 것과 다름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논란을 촉발시킨 '릴리안' 제품이 허가 당시 안전성·유해성 검사를 면제받은 사실이 드러났고, 2009년 이후 식약처로부터 해당 검사를 받은 생리대가 전체 품목의 0.4%에 그쳤던 사실도 확인됐다"며 "생리대의 안전성은 물론 식약처의 허가과정 문제까지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해서는 민관 공동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연구조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여성환경연대와 함께 생리대 유해성 실험을 진행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도 검출시험의 신뢰성이 부족하다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제조사들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김 교수는 이날 서울 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생리대 유해물질 실험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공인된 방법으로 진행한 만큼 분석 결과를 자신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한편 부작용 논란이 발생한 생리대 '릴리안'을 생산하는 깨끗한나라가 생리대 유해물질 방출시험을 진행한 김만구 강원대 환경융합학부 교수와 연구소를 고소했다. 수원지검에 따르면 깨끗한나라는 김 교수를 명예훼손, 김 교수의 연구실을 신용훼손에 따른 업무방해 혐의로 고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