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성 CJ E&M 영화사업부문장이 글로벌 영화사업 설명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CJ E&M
CJ E&M,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 목표…해외 시장 공략 필수
2020년 해외로컬영화 연 20편 이상 개봉…해외 매출 늘릴 것
CJ E&M이 2조원 대에 머무르고 있는 국내 영화시장의 돌파구로 '해외로컬영화 제작'을 제시했다. 국내 개봉작보다 더 많은 영화를 해외에서 만들어 궁극적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국내 매출 비중보다 커지는 구조로 바꾸는 것이 골자다.
13일 오전 서울 더 플라자 호텔에서는 정태성 영화사업부문장과 임명균 영화사업부문 해외사업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CJ E&M 글로벌 영화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정태성 CJ E&M 영화사업부문장이 글로벌 영화사업 설명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CJ E&M
◆10년간 총 23편 해외로컬영화 내놔
2007년 한미 합작영화 '어러스트 러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미국,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6개국에서 총 23편의 해외로컬영화를 제작해 개봉한 CJ E&M은 해외시장개척의 첨병 역할을 해왔다.
특히 한중 합작영화 '20세여 다시 한번'(중국판 '수상한 그녀')은 역대 한중 합작영화 박스오피스 1위, 베트남에서는 '내가 니 할매다' '마이가 결정할게 2' '걸프롬 예스터데이' 등 3개 작품을 베트남 역대 로컬영화 박스오피스 TOP10 안에 올려놓는 성과를 냈다.
CJ E&M은 2015년 4편, 지난해 9편의 해외 로컬영화를 제작해 개봉했다. 2020년부터는 매년 20편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정 부문장은 "한국의 영화산업은 꾸준히 발전해왔다. 하지만, 2조원대에서 시장 규모가 머물고 있고, 국내 영화시장만으로는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 때문에 해외진출은 필수"라며 "국내 1인당 연간 영화 관람 횟수(1인당 4편 이상)를 따져보면, 한국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어서 큰 폭으로 상승하기란 기대하기 어렵다. 해외 시장 공략의 성공 여부는 정체된 국내 영화 산업이 제2의 도약을 할 수 있을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해외사업을 하는 데에 있어서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임 본부장은 "우리 해외사업팀은 해외시장을 일궈보겠다는 사명감을 갖고 임하고 있지만, 분명히 경영진의 의지가 필요한 부분이고 비용이 많이 든다. 향후 미래를 내다보고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부문장 역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겠지만, 분명 미래에는 가능할 거라고 생각하고, 어쨌든 누군가는 해야할 일이기도 하다. 중국 시장은 말할 것도 없이 힘들어졌지만, 겨울이 있으면 봄도 오기 마련이지 않겠느냐"고 덧붙였다.
임명균 CJ E&M 영화사업부문 해외사업본부장이 글로벌 영화사업 설명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CJ E&M
◆한국영화산업의 핵심 자산은 '크리에이티브'
정 부문장은 한국영화 해외진출의 핵심은 '크리에이티브 능력'이라고 강조하며 CJ E&M은 완성작 수출이나 리메이크 판권 판매가 아닌 '해외로컬영화 제작'을 글로벌 진출 해법으로 내놨다.
크리에이티브 능력을 기반으로 해당 국가 국민의 정서에 맞는 로컬 영화를 제작하는 것이 가장 부가가치가 높고 국내 창작자들에게도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거라는 설명이다.
정 부문장은 "글로벌 배급망을 가진 할리우드 영화는 세계 어디에서도 문화적 장벽이 없지만, 한국 영화가 그대로 해외에 수출됐을 때에는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자본력을 앞세워 유수의 메이저 극장 체인과 제작사들을 사들이는 중국의 방식도 우리의 모델이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동안 해외로컬영화 제작 외에도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일본 등지에서 수년간 직배(직접 배급) 사업을 하면서 알게 된 현지 문화와 영화계 네트워크, 그리고 80여명의 임직원과 해외사업 노하우가 해외로컬영화 제작의 자양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문화적 장벽이 높지 않느냐, 리메이크작의 한계'에 대한 질문에 임 본부장은 "리메이크에 대한 반감을 갖는 경우도 있고, 로컬 플레이어들이 우리를 견제하기도 한다"며 "해당 국가를 정말 잘아는 제작사 공동제작을 하는 게 대안인 것 같다. 그리고 리메이크는 다양한 국가에 효율적으로 로컬영화를 내보낼 수 있는 수단 중의 하나이고, 새로운 오리지날 작품 계획은 당연히 갖고 있다. 리메이크작은 한두편에 그칠 것이다. 해당 국가의 정서에 맞는 작품들을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명균 CJ E&M 영화사업부문 해외사업본부장이 글로벌 영화사업 설명회에서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다./CJ E&M
◆준비 중인 해외 로컬영화 라인업
CJ E&M은 지난 5월 한국 콘텐츠 기업 최초로 터키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신규 시장에 뛰어들었다. 터키판 '이별계약'이 올 연말 개봉을 앞두고 있으며 터키판 '스파이' '수상한 그녀' 등 작품들이 준비중에 있다. 터키는 중동, 유럽, 남미 등에 콘텐츠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매력도가 높은 시장이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수상한 그녀'의 영어·스페인어 버전이 각각 제작되고 있다. 영어 버전은 흑인 사회, 스페인어 버전은 미국내 히스패닉 사회와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국가가 타깃이다. 두 사회 모두 가족간 유대감이 남달라 '수상한 그녀'의 스토리가 제대로 들어맞을 거라 예상된다.
이밖에도 베트남에서는 '임모탈'이 촬영을 마쳤으며 베트남판 '써니'가 이번 달에 크랭크업했다. 베트남판 '퀵' '형'도 기획 개발 중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신예 감독 조코 안와르의 공포 영화 '사탄의 숭배자'가 곧 개봉을 앞두고 있다. 또한 '오싹한 연애' '써니' '이별계약' 등 제작을 추진하고 있다. 추후에는 인도와 러시아 시장 개척에도 나설 것이라고 예고했다.
CJ E&M 측은 "국내 영화시장은 제2의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난 20여년간 축적해온 노하우로 해외로컬 시장을 개척하면 '2020년 해외 로컬영화 20편 이상 개봉', '10개 이상 언어로 영화를 만드는 글로벌 제작 스튜디오'라는 목표는 불가능한 것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