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문화종합

'밀정' '인천상륙작전' 등 韓영화 5편, 일본서 개봉 확정

'우리들' 포스터/(주)화인컷



'밀정' 포스터/(주)화인컷



'사이비'포스터/(주)화인컷



'밀정' '서울역' '우리들' 등 한국영화 5편, 일본 관객들 만난다

국내에서 작년에 개봉된 화제작들이 올 해 하반기 일본에서 대거 극장 개봉을 앞두고 있다.

㈜화인컷 측은 '부산행'이 실사 영화로 만들어지기 전에 탄생했던 연상호 감독의 애니메이션 '서울역'과 2013년 국내 개봉한 연상호 감독의 두 번째 장편 애니메이션 '사이비', 국내외 유수영화제 및 영화상 시상식의 신인감독상을 휩쓴 윤가은 감독의 '우리들', 2016년 여름 국내 박스오피스 700만명의 성공을 거둔 이재한 감독의 '인천상륙작전', 그리고 2016년 베니스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 후 국내 개봉해 75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동시에 인정받은 김지운 감독의 '밀정'이 일본 관객을 만날 준비를 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우리들' (감독 윤가은)은 9월 23일 일본배급사인 MANCY'S ENTERTAINMENT를 통해 도쿄에 위치한 에비스 가든 시네마 (YEBISU GARDEN CINEMA)에서 단독 개봉된 후, 점차 다른 도시로 확대 개봉될 예정이다. 에비스 가든 시네마는 유럽, 북미, 아시아의 작품성 있는 예술영화를 엄선해 상영하는 예술 영화 전문관이다. 일본 개봉을 앞두고, 현지 배급사는 윤가은 감독을 초청해 9월 6일에서 8일까지 도쿄 프로모션, 9월 8일과 9일에 걸쳐 오사카 프로모션을 진행했다. 2016년 2월 베를린영화제에서 첫 상영된 이후, 50개가 넘는 해외영화제에서 극찬 속에 상영됐던 '우리들'은 일본에서도 작년 11월 '도쿄필멕스' 영화제에서 관객상을 수상한 바 있다.

9월 23일 또 한 편의 한국 영화 '인천상륙작전' (감독 이재한)이 개봉된다. 일본배급사인 THE KLOCKWORX를 통해 도쿄와 오사카에서 우선 개봉된 후 전국으로 확장될 예정. 한국 개봉 시에도 스크린X (영화관에서 전방 스크린뿐 아니라 좌우 벽면을 동시에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상영시스템) 버전으로 상영돼 화제를 불러모았던 것처럼 영화의 스펙타클한 비쥬얼을 강점으로 이례적으로 도쿄에서도 스크린X 버전과 일반 버전이 동시에 공개될 예정이다.

애니재팬이라고 불려지는 일본에서 한국 애니메이션 두 편이 극장개봉을 통해 관객과 만난다. 연상호 감독의 '서울역'과 '사이비'가 나란히 배급사 NIHON SKY WAY를 통해 개봉되는 것. 오는 30일 '서울역'이 먼저 개봉되며, 10월 21일 '사이비'가 '나는 신이다'라는 제목으로 개봉된다.

작년 베니스영화제 비경쟁 부문 및 토론토국제영화제 스페셜 프레젠테이션 부문 초청작이자 국내 관객 750만명 동원의 성공을 거둔 '밀정' (감독 김지운)은 일본 배급사 AYA PRO를 통해 11월 11일 극장 개봉을 확정 지었다. 일본 강점기 한국 독립군 밀정의 이야기를 다뤄 일본 관객들에게는 다소 예민할 수 있는 소재에도 불구하고, 김지운 감독의 연출력에 송강호, 공유 등 배우들의 연기력이 더해져 작품성을 인정받아 다수의 일본 배급사들이 경쟁적으로 구매의사를 밝힌 바 있다고 ㈜화인컷은 전했다.

일본 배우 신고 츠루미 (Shingo Tsurumi)의 출연은 물론, 일본 관객들의 '밀정'에 대한 반응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영화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줄 작품들이 2017년 가을 일본 극장에서 다수 개봉되면서 웰메이드 한국영화에 대한 일본 관객들의 관심과 호응을 다시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