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기동향

'풍선효과'에 저축은행 대출 1년여 만에 50조 눈앞

#. 택시 운전을 하는 박모 씨(45)는 올해 전세금을 올려달라는 집주인의 요구에 저축은행에서 4000만 원을 급하게 빌렸다. 그의 월급으로는 생활비도 빠듯했지만 월이자 30여만 원을 꼬박꼬박 상환해왔다. 하지만 최근 어머니의 수술비가 필요해 다시 제2 금융권의 문을 두드려야했다. 그는 "적금은 커녕 이자 갚느라 허리띠를 졸라메야할 처지다"고 말했다.

#. 서울 마포에서 조그만 횟집을 하는 김모씨(49)도 은 최근 저축은행에서 급전 2000여만월 빌렸다. 너도 나도 자영업하겠다고 뛰어들면서 갈수록 장사는 안되는데 임대료, 직원들 월급을 조달할 길이 없어 금전을 빌렸다고 하소연 한다. 그는 "이대로 가다간 파산할 지경이다"며 한숨을 쉬었다.

가계, 기업 등이 저축은행에서 빌린 돈이 크게 늘어 50조원을 바라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소득층이 '경기 침체→수입 감소→대출이자 부담 증가→연체'로 이어지는 덫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가계부채가 1400조 원을 육박하는 가운데 저소득 대출 취약계층이 대거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지면 파장이 심각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축은행 여신 50조 눈앞...풍선효과?

9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여신 잔액(말잔 기준)은 48조929억원에 달했다.

작년 7월 40조785억원으로 1년새 8조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2년 8월(40조4734억원) 이후 3년11개월 만에 40조원을 넘긴 것에 비해서도 가파른 증가세다.

저축은행 여신은 2010년 5월 65조7541억원까지 늘었다가 이듬해 저축은행 부실사태에 따른 금융당국의 영업정지 조치, 구조조정 등으로 꾸준히 줄었다.

2014년 6월에는 27조5698억원으로 축소됐지만, 그해 하반기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기업대출이 많이 증가했다.

7월 말 잔액은 27조3749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2조7924억원(11.4%) 늘었다. 작년 1∼7월 증가액 1조4929억원과 비교하면 거의 2배 규모다. 기업대출 증가는 이른바 '풍선효과'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급증세를 우려해 비은행권까지 '대출 옥죄기'에 나서자 저축은행들이 발빠르게 기업대출로 눈을 돌린 셈이다.

20조원이 넘는 가계대출도 걱정이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은 은행을 이용하기 어려운 저소득층이나 저신용층이 생계를 위해 빌리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한국은행 가중평균금리 통계를 보면 지난 8월 저축은행 신규대출 금리는 연 11.30%로 7월보다 0.35% 포인트 올랐다. 저축은행 대출금리는 예금은행(3.43%)의 3.3배 수준이다.

◆가계부채 최대 위험군은 '40대 저소득층 자영업자'

당장 부실 뇌관이 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말 현재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5.7% 로 하향 추세다.

문제는 앞으로가 걱정이다. 미국의 금리 인상, 경기 악화, 부동산 가격 하락 등 곳곳에 위험 요인들이 널려 있다. 특히 취약계층의 가계부채에 큰 위협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대출금리 상승이 가계 재무건전성 및 소비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가계부채는 비은행권 대출 비중이 절반 이상이며, 전체 대출의 71.6%가 변동금리 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이자 부담이 즉각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기준금리가 오를 때 대출금리는 더 빠르게 상승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대출금리는 최대 3% 포인트까지 오를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가계부채의 급증세가 진정되지 않는 가운데 경기 회복 부진으로 소득 여건은 개선되지 않고 있어 정밀한 가계부채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미국 정책금리 인상 후 1월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미국 정책금리 인상폭의 2배, 저축은행 가계대출 금리는 4배 가까이 각각 올랐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예대율 규제와 충당금 적립률 조정 등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를 통해 과도한 대출 확대를 방지하고 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주택 공급시장 관리와 주택담보대출 및 집단대출 규제 강화 등 부동산시장에 대한 정부의 전방위적 관리 대책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