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앞두고 긴장하는 외식업계
오는 19일 진행되는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외식 프랜차이즈 갑질, 식품 위생 등이 거론될 것으로 보여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17일 국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스티븐 크리스토퍼 한국피자헛 대표와 조주연 맥도날드 대표가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한다.
피자헛은 가맹본부에서 대리점을 대상으로 '어드민피(adminfee·관리비)를 받는 등 불공정 행위에 대해 살펴본다. 피자헛은 2003년부터 가맹점들에게 지원업무 수수료를 명목으로 월 매출액의 0.3~0.8%를 받아왔다. 이에 공정거래위원회는 가맹계약서에 기재하지 않은 어드민피는 가맹사업법 위반이라며 지난 1월 5억26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으며, 피자헛이 불복해 항소했지만 지난 8월 항소심서 패소했다. 여기에 피자헛 소유주가 미국 염(Yum!) 브랜드에서 국내 투자 전문회사 오차드원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가맹점주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부분도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용혈성요독증후군(HUS)과 초등학생 집단 장염 발병으로 논란이 된 한국맥도날드의 조주연 대표도 출석한다. 조 대표는 지난달 HUS와 집단 장염 발병 사태 이후 공식 사과를 한 바 있다. 이후 맥도날드는 식품 안전 강화 계획의 일환으로 전국 매장을 대상으로 식품 안전 프로세스 점검을 위한 외부 감사를 진행한다고 밝혔지만 국감을 피해가지는 못했다.
앞서 맥도날드는 지난해 9월 해피밀 불고기버거 세트를 먹은 여자아이가 HUS에 걸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8월 전북 전주시에 있는 맥도날드 매장에서 집단장염이 발생했다. 당시 불고기버거 판매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
고용노동부가 파리바게뜨 제빵사에 대해 직접고용을 명령하면서 이와 관련해 논쟁이 있을 전망이다. 고용부는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SPC에 오는 11월 9일까지 제빵기사 등 5378명을 직접 고용하라고 통보했다. 고용부는 파리바게뜨가 해당 직원들을 간접 고용한 것과 관련해 부당한 형태라고 판단했다. 파리바게뜨가 이들을 직접 고용하려면 600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발생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영업이익 655억원과 비슷한 금액이다. 업계는 제빵 프랜차이즈 사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결정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갑질 문제을 일으킨 MP그룹은 정우연 전 회장에 이어 아들 정순민 부회장까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기로 하면서 증인에서 제외됐다.
한편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기업들의 국감 증인 및 참고인 출석 인원은 더 늘어날수도 있다. 소관부처 국감을 끝났더라도 국감 후반부에 종합국감이 다시 열리기 때문이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SPC그룹에 대해 국감 증인 출석 요청을 끊임없이 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외식업계가 거론되면서 긴장감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번 국감을 통해 업계에 오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 해소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