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음악

미스틱 '리슨'·SM '스테이션'…음원 플랫폼이 증명한 '음악의 힘'

미스틱과 SM의 음원 플랫폼 '리슨'·'스테이션'

음악적 가치 우선해 장르·차트 경계 허물어

대중에게 보다 넓은 음악적 선택 폭 제공 '호평'

'듣는 음악'의 시대가 돌아왔다. 경계를 허문 콜라보레이션이 속속 등장하고, 유행의 흐름을 벗어난 음악들이 쏟아지면서 대중의 음원 소비 형태에도 변화가 일고 있는 것이다.

찾아 듣는 음악의 가치가 주류로 떠오르면서 음원 차트에도 변화가 감지됐다. 음원 시장의 거대화, 그 속에서 막강한 권력의 중심으로 존재했던 것이 바로 음원 차트다.

차트의 영향력은 여전히 막대하지만 차트를 '역공'하는 음악들이 차례로 100위권 내 진입에 성공하면서 공고했던 먹이사슬 관계도 다소 완화된 모양새다.

사실 차트 밖 음악을 듣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시작이 어려울뿐이다. 최근 역주행에 성공한 윤종신의 '좋니'가 그 대표적인 예다. 차트 밖 음악에 신뢰를 갖게 된 대중은 곧 '찾아 듣는 음악'의 가치와 즐거움을 알게 되고, 이는 곧 선순환으로 이어진다.

이 바탕에는 새로운 음원 플랫폼의 등장이 있다. 미스틱엔터테인먼트(이하 미스틱)의 '리슨(Listen)',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의 '스테이션(Station)' 등은 정기적, 간헐적으로 꾸준히 새로운 음악을 선보이며 독자적인 콘텐츠를 구축하고 있다. 이곳에서 아티스트의 소속, 음악적 장르는 한계가 되지 않는다.

미스틱엔터테인먼트 음원 플랫폼 '리슨(Listen)' 자켓 이미지



◆미스틱의 '리슨(Listen)'

미스틱의 '리슨'은 지난해 12월 출범된 음원 플랫폼이다. 양질의 음악을 비정기적으로 발매하는 시스템으로 '저스트 오디오(Just Audio)'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이 슬로건처럼 '리슨'은 오직 듣는 음악에 집중한다. 퍼포먼스 등 음악 이외의 것은 '리슨'에 존재하지 않는다. 대중이 가사와 멜로디, 분위기에 오롯이 집중할 수 있는 이유다.

'월간 윤종신'과 '리슨' 모두 윤종신의 손 안에서 만들어진 플랫폼이지만 서로 다른 갈래의 음악을 선보인다는 점은 눈 여겨 볼 만한 부분이다.

'월간 윤종신'은 지난 2010년 출범한 미스틱의 또 다른 음원 플랫폼으로 지금까지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다. 매월 디지털 싱글 형태로 신곡을 발표하고 이를 연 단위로 모아 앨범으로 완성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17번째 곡을 내놓은 '리슨'은 비정기적으로 음원을 발표한다는 점에서 '월간 윤종신'과는 다소 형태가 다르다. 또한 '월간 윤종신'에선 트렌디하고 대중적인 분위기의 곡이 주를 이룬다면, '리슨'은 윤종신 본연의 음악에 보다 충실한 것이 차이다.

그럼에도 두 플랫폼의 곡들은 높은 퀄리티와 꾸준함, 이를 바탕으로 쌓아올린 신뢰로 대중을 사로잡고 있다. 물론 두 개 플랫폼은 최소한의 마케팅만을 추구하기에 대중의 즉각적인 반응을 기대하긴 어렵다. 그러나 음악 본연의 힘만을 강조한 미스틱의 독보적인 행보는 숨어 있던 명곡들을 차트로 끌어당기는 역할까지 해내며 가요계에 가치있는 흔적을 만들어내고 있다.

SM엔터테인먼트 음원 플랫폼 '스테이션(STATION)' 자켓 이미지



◆SM의 '스테이션(Station)'

SM이 지난해 1월 론칭한 '스테이션'은 시즌1에 이어 시즌2까지 활발히 진행하며 성공적인 음원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했다.

'스테이션'은 경계 없는 협업을 추구한다. 비(非) SM 아티스트와 콜라보레이션은 물론, 브랜드와 장르를 넘나드는 만남으로 새로운 음악적 가치를 생산 중이다. 미스틱과 협업한 '눈덩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인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었던 것도 양사가 그간 쌓아온 기반 덕분이다.

SM과 미스틱이 함께한 '눈덩이 프로젝트'는 '레모네이드 러브(Lemonade Love)', '환생', '덤덤(Dumb Dumb)', '쟤 보지 마(U&I)', '지금' 등 5개 음원을 발매했다. 또한 '2017 눈덩이 콘서트'까지 개최하며 약 3개월간의 대장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처럼 생각지 못한 조합의 콜라보레이션은 '스테이션'을 기대하는 이유다. '스테이션'이 출범했던 지난해만 해도 레드벨벳 웬디와 에릭남의 '봄인가 봐(Spring Love)', 소녀시대 효연과 JYP 소속(당시) 민, 조권의 '본 투 비 와일드(Born To Be Wild)', 엑소와 유재석의 '댄싱 킹(Dancing King)' 등이 큰 화제를 모았고, 오는 11월 3일에는 엑소의 첸과 십센치의 콜라보 '바이 베이베(Bye Babe)'가 공개를 앞두고 있다.

SM 소속 아티스트들에게 '스테이션'은 새로운 창구다. 아이돌 명가 SM에 소속된 수많은 아이돌들은 무대에서 보여줄 수 없었던 가창력과 실력을 '스테이션'을 통해 선보일 수 있다.

SM은 탄탄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스테이션'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음악 그 이상의 가치를 생산하는 데도 쉬지 않고 있다. 음원 수익금 전액을 기부하고, 아티스트의 재능 기부 발판을 마련해 음악으로 보다 나은 세상을 완성하는 데에 앞장서고 있는 것. 지난해 연말 '스테이션1'의 '너의 목소리'는 재즈 보컬리스트 이동우를 비롯해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등 SM 대표 아이돌들이 총출동한 곡으로 음원 수익금 일부는 베트남 지역 어린이들의 음악 교육 지원을 위해 기부됐다.

이렇듯 미스틱의 '리슨'과 SM의 '스테이션'은 각기 다른 가치를 지향하지만 오직 '음악' 본연의 힘을 바탕으로 가요계에 새로운 흐름을 이끌고 있다. 대중에게 보다 넓은 선택의 폭을 제공하고 음원 차트의 벽을 허물기 시작한 이들의 앞으로가 기대되는 이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