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조 "기업들 개혁의지 여전히 의구심"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5대 그룹의 상생협력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개혁 목표를 위해 기업 스스로가 분발해줄 것을 당부했다.
김상조 위원장은 2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삼성, 현대자동차, 에스케이, 엘지, 롯데 등 5대그룹 전문 경영인들과 정책 간담회를 열고 "기업들의 자발적인 개혁의지에 대해 여전히 의구심이 남아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난 6월 4대 그룹 경영인들과 만나 재벌개혁을 위한 자발적인 모범사례를 만들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 위원장, 이상훈 삼성전자 사장,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박정호 SK텔레콤 사장, 하현회 LG 사장, 황각규 롯데지주 사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5대그룹 전문경영인들 및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도 간담회 취지에 공감하며 "국민들의 눈높이에 비춰볼 때 미흡한 부분도 없지 않을 것이나, 과거의 잘못된 관행과는 결별하고 잘하는 부분은 더욱 발전시켜나가야"라고 말하는 등 기업이 지배구조 개선 및 상생협력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신설조직인 기업집단국의 역할과 운영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신설된 기업집단국의 역할에 대해 대기업 조사와 제재만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아니며, 기업관련 '정보의 축적과 조사·제재 과정의 결과로서 우리나라의 기업정책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집행하며, 정치적·정서적 요구에 흔들리지 않는 공정한 시장질서와 효율적 기업구조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김 위원장은 기업들에 로비스트 규정(공정위 윤리준칙)을 철저히 지켜 공정위와 기업들이 모두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선순환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Corporate Governance Code)을 스스로 갖추고 실행해 "사외이사 선임 등의 주요 현안에 대해 평상시에 기관투자자들과 대화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추어달라"고 말했다.
상생협력을 통해 장기적 이익증대에 기여한 임직원들이 높은 고과평가를 받고, 반대로 하도급거래에서 분쟁을 일으키는 임직원들은 페널티를 받는 등 평가 기준도 개선해 줄 것을 요청했다.
끝으로 노사관계에서 사용자단체가 합리적 의견을 제시하는 건전한 대화의 파트너로 자리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