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바게뜨, 상생기업 '해피파트너즈' 출범…제빵사 동의 확보에 집중
파리바게뜨가 합작법인을 통해 제조기사(제빵사) 간접고용에 나섰다. 이에 최대한 많은 제조기사 동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현재 제조기사의 70%가 가맹본부 직접고용에 반대하고 있지만 더 많은 반대표를 모은다면 납부 해야할 과태료가 적어지기 때문이다.
파리바게뜨는 지난 1일 고용노동부의 제조기사 직접고용 시정지시의 대안으로 가맹본부, 가맹점주협의회, 협력업체 등 3자가 합자한 상생기업 '해피파트너즈'를 출범했다고 3일 밝혔다.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지난 10월부터 상생기업 설명회를 진행하며, 제조기사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고용노동부가 직접고용을 지시한 제조기사 5309명 중 약 70%인 3700여명이 가맹본부 직접고용에 반대하고 있다. 이들 중 현재 협력회사에 남겠다는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상생기업 소속전환에 동의하고 있다. 나머지 30%는 제조기사는 직접고용을 원하고 있어 시정지시 이행 기간은 오는 5일까지 이들을 설득시키는 것은 사실살 불가능하다.
고용부는 직접고용에 반대 의사를 밝힌 제조기사를 과태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파리바게뜨는 합작법인에 동의하지 않은 30%의 제빵기사를 설득하지 못하면 160억원의 과태료를 내야한다. 파리바게뜨 등이 속한 파리크라상의 1년 영업이익이 665억원으로 과태료는 여전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파리바게뜨는 과태료 부과 처분을 받을 경우 이의신청이나 추가 소송 등으로 시간을 벌고 제빵사 동의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파리바게뜨 측은 설명회를 통해 급여 인상분, 복리후생, 승진제도 개선 등 상생기업에 관한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 공개되면서 상생기업에 동의하는 제조기사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대구지역 협력업체 소속 제조기사들의 80% 이상이 직접고용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내고, 가맹점주들 2368명이 가맹본부 직접고용에 반대하는 탄원서를 고용노동부에 제출하는 등 상생기업 설립에 대한 요구가 높아 출범이 본격 결정됐다.
파리바게뜨 관계자는 "많은 제조기사들이 상생기업으로 소속 전환 의사를 밝혔고, 하루빨리 안정적인 환경에서 근무하기를 원하고 있어 상생기업을 출범시켰다"이라며 "아직 마음을 결정하지 못한 인원들도 언제든지 상생기업으로 소속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상생기업 소속 제조기사들은 기존 근속과 퇴직금이 그대로 승계되며, 급여가 13.1% 인상되고, 각종 복리후생이 상향 조정된다. 11개 협력업체 인원과 조직을 통합하면서 휴무 대체 인력 충원이 수월해져 최대 월 8일까지 휴무일이 보장되며, 관리자급 직원 수요 증가에 따라 승진 기회도 늘어날 전망이다.
제조기사들에 대한 업무지시는 상생기업 소속의 현장관리자를 통해서만 이뤄질 예정이다. 이와 함께, 고충처리위원회를 신설해 부당한 대우를 받는 제조기사들의 어려움을 즉시 해결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며, 노사협의회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현장의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파리바게뜨는 고용노동부와 대화를 통해 시정 기한 연장을 추진해 보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고용부는 파리바게뜨가 제빵사 전원에 대한 직접고용을 포기하지 않을 경우 파견법 위반으로 검찰에 송치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