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사상 처음으로 3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효자는 역시 반도체다.
권구훈 골드만삭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일 서울지점에서 열린 '2018년 경제전망' 기자간담회에서 "한국과 글로벌 수출 경기에 큰 변화가 없다면 내년 중반께 누적 4개 분기 기준으로 1인당 GDP가 역사상 처음 3만 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밝혔다.
예상대로라면 G20 국가 중에선 9번째, 아시아에선 일본·호주에 이어 3번째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현재 세계 경제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이끌어가고 있는데 한국은 GDP에서 ICT가 차지하는 비중이 10% 이상으로 이런 추세의 혜택을 가장 많이 받는 나라"라며 "한국은 4차산업혁명, 디지털혁명에 유리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 'FANG'(페이스북·아마존·넷플릭스·구글)로 대표되는 업체들의 데이터센터, 소프트웨어 등 설비투자가 증가하는 추세"라며 "이 영향으로 국내 반도체 업종의 내년 수출 증가 기여도는 전체 수출 증가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수 소비는 정부 재정지출 증가, 최저임금 상승, 관광산업 일부 회복 등으로 증가세가 소폭 빨라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 정부의 최저임금 인상은 개인 소비를 1%포인트 정도 늘릴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12월 코스피 전망치로 2900선을 제시했다.
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년에 한 차례, 내후년에 한 차례 등 추가 인상으로 내년 말 연 2.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한국경제의 예상 가능한 리스크로는 중국의 정책 리스크, 예상보다 빠른 선진국의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개도국 경제 약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보호무역 리스크 등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