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CJ제일제당 햇반, 연간 판매량 3억개 돌파

햇반/CJ제일제당



CJ제일제당 햇반, 연간 판매량 3억개 돌파

CJ제일제당은 올해 햇반의 연간 판매량이 3억3000만개에 이를 것이라고 13일 밝혔다.

햇반은 지난 2011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1억개를 돌파하며 꾸준히 판매량이 증가해왔다. 특히 1~2인 가구의 급증과 맞물려 본격적인 상승곡선을 그리며 지난 2015년 연간 판매량 2억개를 돌파한 이후, 2년 만에 연간 판매량이 1억개 이상 늘어났다. 실제 햇반의 21년간 누적 판매량 20억개중 2011년부터 올해까지 7년간 판매량이 약 14억개에 이를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햇반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소비자의 식문화도 바뀌고 있다. 라면보다 약 30년 이상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신혼부부들이 밥솥 대신 햇반을 산다'라는 말이나 가정에 햇반을 여러 개 쌓아놓고 있는 모습이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이미 우리 국민 식생활의 일부가 됐다. 출시 이후 전자레인지의 보급 확대와 함께 '급할 때 먹는 비상식'으로 인식되던 햇반이 '1~2인 가구 확대'라는 트렌드 속에서 '간편하고 맛있게 식사를 즐길 수 있는 일상식'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최근 CJ제일제당이 진행한 소비자 조사 결과 90% 이상이 상품밥으로 가장 먼저 햇반을 떠올렸다. 10명 중 7명은 지난 1년 이내에 햇반을 사본 적이 있으며, 햇반을 사 본 소비자 중 재구매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10명 중 9명에 달할 정도로 소비자 충성도도 높았다. 올해 팔린 햇반중 약 4분의 1 가량이 8개 이상 제품이 하나로 포장된 묶음 상품이라는 지표에서도 햇반의 일상식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햇반이 우리 국민의 생활속 일상식으로 자리잡으면서 국내 쌀 소비 확대에 기여하는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최근 1~2인 가구의 증가가 본격화된 2011년 이후 7년간 국내 1인당 쌀 소비량이 약 10% 이상 줄어든 것에 비해 햇반 판매는 연평균 20%씩 늘어났다. 출시 이후 올해까지 햇반에 사용한 쌀의 양만 해도 약 270만 가마니(약 22만t, 80㎏ 기준)에 이른다.

지난 1996년 12월 출시된 햇반은 20여년간 국내 HMR 시장을 개척한 이후 시장과 국민 식문화의 변화를 선도해왔다. 특히 소비자가 '상품밥' 대신 '햇반'이라는 말을 사용할 정도로 말 그대로 '밥의 대명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CJ제일제당이 상품밥 출시를 구체화하기 시작한 1980년대 후반부터 햇반이 출시된 1990년대 중반만 해도, 소비자에게 '밥을 사먹는다'라는 개념은 매우 생소했다. 실제로 출시후 1년간 햇반의 판매량은 400만개가 채 되지 않았다.

CJ제일제당은 편의성과 보관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무균포장기술 도입을 위해 당시 회사 영업이익의 10% 수준인 1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로 햇반 출시를 강행한 배경에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판단이 있었다.

특히 햇반은 상품밥 시장 후발주자와의 경쟁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오르기까지 제품의 본질인 '밥의 맛'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왔다. 일체의 미생물 침투를 불허하는 '무균 포장 기술'과 함께, 햇반이 '갓 지은 밥맛'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경쟁력인 '당일 도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품질 개선에 주력해왔다. 매년 생육조건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쌀을 사용하면서도 항상 균일한 햇반 맛을 내기 위해 원료 쌀의 생육과정(모내기, 관리, 수확)을 직접 현장에서 점검 및 관리하고, 그 해에 가장 맛있는 쌀을 찾기 위해 전쟁과 같은 원료 확보 경쟁을 치르는 햇반 연구원들의 노력과 함께 수확 후에도 햅곡과 같은 품질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쌀을 저온 보관하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이 출시 이후 압도적 시장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햇반의 핵심 성공 요인이라는 평가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햇반이 출시부터 지금까지 추구해 온 변하지 않는 가치는 소비자에게 '갓 지은 것처럼 맛있는 밥, 집밥보다 맛있는 밥'을 선보이는 것이다. 앞으로도 맛과 건강, 편리함에서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국민 브랜드'의 위상을 지켜나갈 것"이라며 "내년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간편식이 되기 위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