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한국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協 회장 "'AI 센터' 설립 추진…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
"빅데이터와 결합된 AI(인공지능)는 신약개발 성공률을 높이고, 비용과 디스커버리 단계(4~5년)에 소요되는 시간을 1/6로 단축시켜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18일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방배동 협회 회관 2층 K룸에서 송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2018년 중점과제를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원 회장은 새해 중점과제로 'AI 신약개발지원센터' 설립을 꼽았다. 그는 "제약산업계가 인공지능에 주목한 데에는 두 가지 배경이 있다"며 "글로벌 경제의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비용은 증가하는데 신약 성공률은 낮아지는 '생산성 하락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함"이라고 전했다.
협회는 이같은 계획을 구체화하기 위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등과 업무협력 방안 논의 및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바 있다. 내년 1월 범부처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AI 센터)' 추진단이 차질없이 출범할수 있도록 추진단장을 비롯한 인력과 예산, 사무실 마련 등 준비작업을 진행 중이다.
품질 혁신을 통한 기업 경쟁력 향상에도 힘쓸 예정이다. 원 회장은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려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제약 선진국 수준으로 의약품의 품질을 개선해야 한다"며 "품질 혁신이 이뤄져야만 1400조 세계 제약시장에서의 경쟁에서 살아남을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에서 1조원대 매출을 기록하는 대형 제약사들을 비롯해 상당수 중소·중견 제약기업들도 품질 향상, 설비 증강을 통해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대웅제약과 서울제약이 충북 오송에 cGMP 공장을 신설한 것과 셀트리온제약과 한림제약 등이 대규모 투자설비를 통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실사를 통과한 것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기업은 생산 인프라 선진화를 통해 품질 혁신의 성과를 도출함으로써 글로벌 진출 기반을 한층 강화했다.
글로벌 시장 공략 강화에도 집중한다.
원 회장은 "내년에 해외시장 개척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며 "파머징 국가(신흥제약시장)를 비롯해 아시아와 CIS 국가(독립국가연합)의 정부 부처 및 제약협회와의 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특히 유럽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향후 시장 조사·분석과 함께 벨기에를 비롯한 주요 유럽 국가의 제약협회는 물론 EFPIA(유럽 제약산업협회)와의 MOU 등 구체화된 협력이 진척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오픈 이노베이션과 협회의 운영 혁신, 윤리경영 확립과 유통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리베이트를 원천적으로 근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동하고,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윤리경영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인증받는 방안이 확산돼야 한다고 판단했다. 지난 10월 이사회에서 글로벌 윤리경영의 표준이자 실효적 인증 도구인 ISO 37001(반부패경영시스템)의 도입을 결의한바 있다. 15개 이사장단사(2018년)와 35개 이사사(2019년)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원 회장은 "2018년을 제약강국 도약의 해로 만들기 위해선 산업계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 R&D 투자지원 규모 확대와 자금의 효율적 배분 ▲조세특례제한법 개정 등 세제지원 확대 ▲국내개발 의약품의 사용촉진 제도화 ▲예측 가능하고 합리적인 보험약가제도 운영 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