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선주 및 선급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솔리더스 실물 모형을 공개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액화천연가스(LNG) 기술력을 다시 입증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자체 개발한 간접 열교환식 재기화 장치와 LNG 화물창인 '솔리더스', '맥티브' 시연회를 옥포조선소 내 에너지시스템 실험센터에서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시연된 재기화장치는 대우조선해양이 자체 개발한 간접 열교환 방식 기화기를 적용·개발한 것으로, 초기투자비와 운영비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이 재기화장치는 옥포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LNG-FSRU에 탑재돼 2019년 발주사에 인도될 예정이다.
지난 10월 대우조선해양이 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독자 개발한 LNG 화물창 솔리더스도 선보였다. 이중 금속 방벽을 적용해 안전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멤브레인형 화물창 솔리더스는 업계에서 한계치라고 여기던 화물창의 일일 LNG 증발률을 0.07%에서 0.049%대로 낮출 전망이다. 이는 17만㎥급 LNG 운반선을 25년간 운행한다고 가정했을 때 총 125억원 상당의 LNG가 절약되는 규모다.
대우조선해양은 "기존 개발한 재액화 장치를 이용해 액화천연가스의 능동 증발량을 제어한데 이어 솔리더스로 수동 증발량까지 제어할 수 있게 됐다"며 "LNG화물창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했음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 함께 소개된 맥티브(MCTIB)는 고망간강을 적용한 LNG저장탱크로 기존 제품보다 안전성이 우수하며 공간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작비용 역시 기존 제품의 절반 수준으로 줄였다.
이날 시연회에 참석한 대우조선해양 이성근 조선소장(부사장)은 "대우조선해양이 각고의 노력으로 자체 개발한 제품들을 시연할 수 있어 기쁘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LNG 기술력을 중심으로 경영정상화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