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촌권역 자연성 회복사업'으로 조성된 이촌한강공원의 자연형 호안/서울시 제공
서울시 이촌한강공원이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했다.
서울시는 26일 약 2년간 추진한 '이촌권역 자연성 회복사업'을 끝내고 이촌한강공원을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생태적 잠재력인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자연형 호안(유수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강이나 바다의 비탈면에 설치하는 장치) 및 소생물 서식처를 복원해 한강의 자연하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체 공사구간은 한강대교에서부터 원효대교 북단까지 길이 약 1.3㎞, 넓이 9만7100㎡ 공간이다. 시는 생태 복원을 위해 자연형 호안, 천변습지, 논습지, 관찰 및 수변데크 등을 조성했다. 또한 시민들의 이용편의를 위해 자전거도로 및 산책로, 생태놀이터, 휴게쉼터, 다목적운동장 등을 설치했다.
특히 자연형 호안 복원을 위해 기존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돌과 흙을 쌓은 뒤 그 위에 물 억새, 사초등과 같이 물과 친밀한 식물로 만든 매트를 덮었다. 이를 통해 강물에 의한 침식을 방지하고 자연 그대로의 하천 식생을 복원했다는 설명이다.
호안 주변에는 호안의 침식을 방지하고 수생물의 서식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물과 조류의 휴식공간인 나무장대를 설치했다. 또한 강 가까이에 위치했던 자전거 도로를 둔치 안쪽으로 변경해 사람들의 접촉을 최소화했다.
이번에 조성한 습지에는 경남 창녕군으로부터 우포늪의 습지식물 6종 4600본을 기증받아 심었다. 기증 식물은 창포, 부들, 매자기, 송이고랭이, 가래, 줄 등 총 6종의 수변 식물들이다. 이를 통해 내년 봄에는 습지 생태의 '보고'인 우포늪의 자생 습지식물을 이촌한강공원에서 직접 보고 체험할 수 있게 됐다.
아이들의 놀이공간인 '생태놀이터'도 조성됐다. 생태놀이터는 ▲조합놀이대 ▲케이블카 ▲언덕놀이대 ▲그네 ▲시소 등 10종의 다양한 놀이시설로 구성됐다.
한편 시는 동작대교 북단에서 한강대교 북단 2.1㎞구간에 대한 자연형 호안 복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내년 12월 준공을 목표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동작대교 북단에서 원효대교 북단까지 3.4㎞에 이르는 자연형 호안 복원이 완료될 예정이다.
유재룡 한강사업본부장은 "자연성 회복사업을 통해 이촌권역을 다양한 생물종이 서식할 수 있는 한강의 생태 거점지역으로 조성하게 됐다"며 "이와 함께 시민들도 자연을 누리며 진정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한강공원으로 거듭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