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취업난 여파… 올해 '나이 든 신입사원' 늘었다

올해 기업 10곳 중 8곳, "'30대 신입사원 지원자' 있었다"

기업 10곳 중 8곳에서 올해 30대 이상 신입사원 지원자가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



취업이 어려워지면서 올해 기업 신입사원 지원자 연령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기업 368개사를 대상으로 '30대 이상 신입 지원자'가 있느냐고 물은 결과 응답 기업의 81%가 '그렇다'고 답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30대 이상 신입 지원자가 '증가했다'는 기업이 46%로 가장 많았고, '비슷했다'는 응답은 42.3%, '감소했다'는 11.7%에 그쳤다.

신입사원 지원자 중 3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40%로 집계됐다. 자세히 보면, '30%'(19.1%), '20%'(17.1%), '50%'(14.4%), '10% 이하'(14.1%), '60%'(9.7%), '40%'(9.1%) 등의 순이었다.

응답 기업 중 71.7%는 지원자의 연령대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취업이 어려워서'(31.8%)가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지원자의 눈높이가 높아서'(24.6%),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아서'(17%), '휴학, 졸업유예가 보편화되어서'(9.1%), '고학력자가 늘어나서'(4.9%), '준비해야 할 스펙이 너무 많아서'(3.4%) 등을 들었다.

신입사원의 연령이 높아짐에 따른 부작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사원의 연령이 높아질 경우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물었더니, '위계질서 혼란 유발'(36.4%)을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신입사원 조기퇴사 및 이직 증가'(22%), '개인주의적 사고 확산'(11.4%) 등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응답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 밖에 '연공서열보다 능력중심 문화 확산'(10.6%), '수평적 팀 문화 확산'(9.2%)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도 있었다.

기업 중 66.3%는 30대와 20대 신입사원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30대 이상 신입사원이 20대 신입사원보다 뛰어난 점으로는 '업무 이해도'(36.9%, 복수응답)를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조직 적응력'(34%), '근속의지 및 충성도'(34%), '연륜'(31.6%) 등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30대 신입사원이 부족한 점에 대해서는 '특별히 부족한 점 없다'(30.7%)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열정'(23%),'체력'(20.1%), '개방적 사고'(15.2%), '근속의지 및 충성도'(14.3%), '팀워크 및 협동 능력'(12.7%), '조직 적응력'(12.7%)등을 꼽았다.

신입 채용시 연령 제한이 있다는 기업은 61.1%였고, 이들 기업은 4년제 대졸 기준으로 남성은 평균 34세, 여성은 평균 33세로 집계됐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취업난으로 구직기간이 길어지고, 적성이나 성향이 맞는 곳에 재취업하기 위해 올드루키로 지원하는 구직자들이 많아지고 있다"며 "기업들도 변화된 구직 트렌드를 반영해 채용 평가시 나이 제한을 두기보다는 지원자 직무 역량과 발전 가능성을 중심으로 선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