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애플 배터리 게이트, 삼성과 다른 대응에 소비자 '분통'

애플이 배터리를 이유로 아이폰 성능을 저하시킨 '배터리 게이트'에 대해 배터리 교체비용 할인이라는 대응책을 내놓은 뒤 오히려 더 큰 비난을 받고 있다. 갤럭시노트7 배터리 문제로 잃은 소비자 신뢰를 빠른 수습으로 회복한 삼성전자와 다른 행보를 걷는 모양새다.

1일 외신에 따르면 애플을 상대로 한 집단소송이 세계 각국에서 15건으로 늘어났다. 호주 퀸즐랜드에 위치한 법무법인 샤인 로이어즈는 2018년 초 소장 제출을 목표로 집단소송 절차에 착수했다고 이날 밝혔다. 호주에서 아이폰을 쓰다 피해를 본 사용자가 500만명이 넘을 것이며 10억 달러 이상의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애플을 상대로 한 집단소송이 제기됐거나 추진 중인 국가도 미국, 이스라엘, 프랑스, 한국, 호주 등 5개국으로 늘었다. 지난 20일(현지 시간)애플이 아이폰6 이후 출시 제품들의 성능을 고의로 저하시켰다고 시인한 지 11일 만이다.

구형 아이폰의 성능 저하 의혹은 예전부터 제기됐지만 명확한 증거가 없어 음모론 취급을 받아왔다. 의혹이 확인된 것은 뉴스 공유 커뮤니티 레딧에 사용자들이 '오래된 아이폰의 속도가 느려졌다'는 글을 올리면서다. 지난 9일 한 사용자가 "아이폰6S 배터리를 교체했더니 성능이 급격히 좋아졌다"고 주장했고 프라이메이트 랩스의 존 풀 설립자가 이를 검증하며 사실로 드러났다.

애플의 구형 아이폰 성능저하가 신형 아이폰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는 사용자들의 집단소송이 이어지자 애플은 지난 28일 사과문을 올리고 보상안을 공개했다. 사용자가 79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아이폰 배터리 교체 서비스를 50달러 할인된 29달러에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되레 성난 사용자들에게 기름을 뿌린 격이 됐다. 국내 상황만 하더라도 법무법인 한누리에 따르면 애플코리아의 보상안 발표 전 3만명 수준이던 집단소송 참여자는 발표 후 하루 만에 15만명 늘어난 18만명에 도달했다. 법무법인 휘명이 집단소송 위임을 위해 개설한 인터넷 카페 회원도 2900명에 달한다.

지난 3분기 107억 달러(약 11조 7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고 CEO에게 급여 등으로 올해 1억200만 달러(약1094억원)를 지불한 애플이 사용자들에게는 기대에 못 미치는 제안을 한 것이 원인이다.

현지 매체 USA투데이는 "노후 배터리 교체비용을 낮추기보다 무료로 배터리를 교체해 줘야 한다"고 말했고 뉴욕타임스는 "이런 방식으로 문제에 대처하는 스마트폰 업체는 본 적이 없다"고 평가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애플의 사과문에 고위 임원진의 서명이 들어있지 않다"면서 "공개 사과하는 것은 CEO에게 주어진 책무"라고도 지적했다.

애플 이전에 스마트폰 배터리 문제로 곤욕을 겪었던 기업으로는 삼성전자가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하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을 출시했지만 배터리 발화 사건이 발생하자 공식 사과와 함께 전량 리콜을 결정했고 문제가 재발하자 제품은 단종, 전량 폐기시켰다.

삼성전자가 시장에서 회수한 제품은 300만대가 넘는다. 제품 배터리만 교체해도 될 상황이었지만 소비자 안전을 우려해 제품 전량 회수와 폐기를 결정한 것이다.

소비자들에게도 전액 환불 또는 최신 플래그십 스마트폰(갤럭시S7)으로 교환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갤럭시S7으로 교환한 뒤 이듬해 신제품으로 교체하면 기존 할부금을 50% 면제하는 혜택도 제공했다. 갤럭시노트7 구입 당시 사은품으로 제공했던 스마트밴드 기어핏2 등은 환불이나 교환을 하더라도 소비자에게 귀속시켰다.

제품 회수 과정에서 배터리 충전률 제한 등의 조치로 구설에 올랐지만 배터리 결함 원인을 조사하고 제3의 기관에도 의뢰해 분석 결과를 소비자들에게 공개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돌리는데 성공했다.

막대한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소비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자세를 유지한 덕분에 갤럭시노트7 배터리 결함 문제가 조기 해결됐고 차기작인 갤럭시S8, 갤럭시노트8은 흥행에 성공할 수 있었다. 시장에 유통되지 않은 갤럭시노트7의 배터리를 교체한 갤럭시노트FE(팬에디션)도 소비자들의 뜨거운 성원에 조기 품절됐다.

한누리 조계창 변호사는 "소비자들이 입은 피해와 위법성 정도를 비춰보면 애플이 제시한 대책의 보상 수준이 극히 낮다"며 "2월 초 실제 소송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