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은 잔인할 정도로 이리도 빠르다. 눈 깜짝할 사이에 한 해가 가고 또 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이미 저문 해로 접은 2017년을 보내며 소회를 풀어 본 적이 있었는데 오랜만에 안 부차 들렸다는 신도 한 분이 그 얘기를 꺼낸다. 필자가 2017년 초에 발표한 글 중에 정유년을 언급하며 했던 얘기가 지금의 한국 상황과 어찌 그리도 맞느냐며.. "정유년은 그 무엇보다 내우외환의 시련이 함께 한다.."라는 문구가 머리에 떠오르면서 그 대목을 읊는데 내우외환의 형국이 뚜렷한 정유년엔 과거 임진왜란 후 전쟁의 후폭풍을 호되게 겪어냈던 조선 중기처럼 국내 정치는 사분오열로 시끄럽다. 국가외적으로는 강대국의 이권 추구와 횡포 속에서 갈팡질팡하며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안타까운 형국을 맞이할 거란 필자의 지적을 다시 한 번 떠올리게 됐단다. 국빈의 자격으로 방문한 중국에서도 수행기자단이 맞는 일이 일어나질 않나 미국은 한국 대하기를 투명인간 대하듯 코리아 패싱이란 단어까지 생기게 되었다. 중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의 오만한 행태들은 마치 한국이 조선 말기의 제국주의의 발호 속에서 힘없이 흔들리는 바람 앞의 등불과 같은 형국이 지속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정유재란이 있었던 정유년은 아직은 끝나지 않은 임진란의 고통스러운 후폭풍이었던 것이다. 이렇듯 운기는 돌고 도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시인의 시에 나오듯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겠는가?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비바람 속에서 흔들리며 피어 아름다운 꽃잎을 보여주듯이 나무들은 풍상을 딛고 일어서야 아름드리 나무기둥을 세울 수 있다. 이러한 시련을 잘 참아내고 내공을 쌓을 수 있게 된다면 분명 여러 예언서에 나오듯 정 도령의 출현을 볼 수 있을 것이며 그리하여 견고하게 빛나는 미래의 초석을 쌓는 내공이 깊어질 수 있으리라고. 북 핵의 위협 아래 대한민국의 여러 상황만으로도 혼란한데 텔아비브를 이스라엘의 수도라고 공언한 트럼프대통령의 발언으로 전 세계가 혼란스러워지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한민국의 안위다. 이 혼란스러운 위기를 슬기롭게 잘 이겨낸다면 분명 정감록 등 여타의 예언서에서 말하는 것처럼 해동 갑목의 우리나라가 안정과 도약을 이루기 전의 마지막 혼란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당파와 지역 간의 해묵은 반목을 털어내고 마음을 모아야 한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하듯 지난해의 전 국가적 혼란이 잦아들고 새로운 도약과 발전이 필요한 때다. 여러분들도 새로운 각오를 세우셨으리라 믿는다. 공생(共生)의 가치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공생은 새 해의 화두가 될 것이다./김상회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