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창업기업 1191개… 143억여원 매출, 학생창업 기업 1곳 당 연 매출 1200만원
대학 창업통계 조사 주요 결과 /교육부·중기부
대학의 창업강좌가 1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하고 창업휴학제 등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는 확대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창업 성과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교원창업과 대학원생 창업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기술창업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교육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조사해 발표하던 '대학 산학협력활동 실태조사(교육부)'와 '대학창업인프라 실태조사(중기부)'를 조사와 분석을 일원화한 '2017 대학 창업 통계 조사' 결과를 16일 공동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작년 8월 31일 기준, 사이버대학과 기능대학 등을 포함한 전국 4년제 대학 273곳, 전문대학 149곳 등 총 422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두 부처가 그동안 발표해 온 대학 창업 관련 통계는 내용은 일부 유사했지만, 통계 작성기준과 대상이 상이해 대학이나 창업기업 등 관계자들이 혼란을 겪어왔다. 예컨대 창업동아리 조사에서 교육부는 '지도교수가 있고 대학에 등록한 동아리를 기준'으로, 중기부는 '지도교수가 없거나 대학에 미등록된 동아리도 포함'해 조사하는 식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창업휴학제'와 '창업 대체학점 인정제도' 등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운영 대학이 증가했고, 창업강좌수, 창업동아리 수, 학생·교원 창업기업 수 등 대학의 창업 관련 주요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
특히 창업강좌 수는 2016년 기준 1만461개로 전년 4262개에서 2배 이상 증가했다. 창업강좌 운영학교는 313개교로 학교당 33.4개 창업 강좌가 개설됐다. 이밖에 창업휴학제도 217곳, 창업대체학점 인정제도 105곳, 창업장학금 제도 67곳, 창업강좌 학점교류제 85곳, 창업연계전공 49곳 등 창업친화적 학사제도가 전년대비 5.0%~125% 증가했다.
학생들의 창업 열기 커졌지만, 창업 실적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창업동아리는 5468개로 전년대비 25% 증가했고, 대학생 창업자는 1328명, 창업기업 수는 1191개로 나타났다. 이들 창업기업의 총 매출액은 143억5500만원으로 창업수와 매출액이 각각 38.3%와 72.7% 증가했다.
하지만 창업기업 1곳 당 연간 매출액은 1200만원 수준에 그쳐 직원 인건비 수준에도 한참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창업 업종으로는 지식서비스업이 42.1%, 제조업 13.4% 등 기술기반 업종이 55.5%를 차지했고 고용인원은 542명으로 집계됐다.
교원창업의 실적은 더 초라하다. 교원창업은 총 195개로 전년 137개에서 42% 증가했으나 총 매출액은 약 25억 원으로 전년대비 48.5% 감소했고, 총 고용 인원도 168명으로 기업당 고용 인원이 0.9명에 불과해 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교육부는 교원 창업 인사제도 활성화와 교원 창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도 등 창업 유인책을 검토하고, 창업 친화적 교원인사제도 메뉴얼을 개발해 보급하는 한편, 고부가가치 일자리 충출을 위해 대학원생 창업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학생과 학부 중심으로 창업 지원이 이뤄졌고, 학생창업 대부분 초기 창업기업으로 매출실적은 크지 않다"면서 "앞으로는 교원창업과 대학원생 창업 등을 통해 기술창업을 유도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창업은 물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