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하반기 신입사원 합격자 스펙 /사람인
올해 기업 신입사원 합격자들의 학점과 토익점수 등 스펙은 어떻게 될까. 지난해 기준 학점 자격조건이 있는 기업이 요구하는 학점은 평균 3.1점으로 나타났고, 최소 2.5점 이상이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작년 하반기 신입사원 채용을 진행한 기업 104개사를 대상으로 '2017년 하반기 신입사원 합격 스펙'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합격자들은 평균적으로 학점 3.5점, 토익 733점, 자격증은 2개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작년 하반기 합격자 평균 학점(3.5점)은 같은 해 상반기(3.4점) 대비 0.1점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3.3~3.6점 미만'(35.6%)이 가장 많았고, '3.6~3.9점 미만'(26%), '3.0~3.3점 미만'(19.2%), '3.9~4.2점 미만'(8.7%), '3.0점 미만'(8.7%), '4.2점 이상'(1.9%)이 뒤를 이었다.
조사 기업 중 50.9%인 53개사가 학점 자격조건이 있었고, 이들 기업 중 71.7%는 '일정학점 이상 동일하게 평가한다'고 답했다. 이들이 제시하고 있는 최소 학점 자격조건은 '3.0점 이상'(50.9%), '3.5점 이상'(32.1%), '2.5점 이상'(13.2%), '4.0점 이상'(3.8%)의 순으로 평균 3.1점으로 집계됐다.
토익 평균점수는 733점으로 같은해 상반기보다 41점 하락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700~750점 미만'(18.8%), '600~650점 미만'(18.8%), '750~800점 미만'(15.6%), '800~850점 미만'(14.1%), '650~700점 미만'(9.4%), '900~950점 미만'(6.3%), '850~900점 미만'(4.7%), '550~600점 미만'(4.7%), '950점 이상'(3.1%) 등이었다.
반면, 토익스피킹 평균 레벨은 5.8로 상반기에 비해 0.2점 상승했다. 구간별로는 '레벨6(130~150)'(35.7%), '레벨5(110~120)'(32.1%), '레벨7(160~180)'(14.3%), '레벨4 이하(100 이하)'(10.7%), '레벨8(190~200)'(7.1%)의 순서였다.
신입사원 10명 중 9명은 평균 2개 이상의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개'(49.5%), '1개'(28%), '3개'(15.1%), '4개'(3.2%), '6개'(2.2%) 등의 순으로 답했다.
기업의 76%는 신입사원 채용 시 '자격증 관련 조건이 있다'고 답했다. 자격증을 평가에 반영하는 직무는 '제조/생산'(22.8%, 복수응답), '재무/회계'(20.3%), '서비스'(16.5%), '연구개발'(15.2%), '영업/영업관리'(13.9%), '인사/총무'(12.7%), 'IT/정보통신'(11.4%) 등이 있었다.
신입사원들의 출신 대학을 보면 지방 사립대 이공계열이 강세를 보였다. '지방 사립 대학'(31.8%)이 1위를 차지했고, '수도권 소재 대학'(25%), '서울 소재 대학(SKY 제외)'(19.3%), '지방 거점 국립 대학'(15.5%), 'SKY 등 명문대학'(4.5%), '해외 대학'(3.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공계 선호 현상은 다소 둔화되는 조짐을 보였다. 상반기에는 이공계열 전공이 전체 신입사원 중 42.3%를 차지했던데 비해, 하반기에는 6.2%p 감소해 36.1%에 그쳤다. 계속해서 '상경계열'이 20.7%로, 상반기에 비해 한 계단 올라서 2위를 기록했고, 다음은 '사회계열'(17.5%), '인문, 어학계열'(16.6%), '예체능계열'(5.3%) 등의 순이었다.
이밖에 인턴을 경험한 신입사원이 전체의 56.7%를 차지했고, 정규직 근무경력을 보유한 '올드루키'가 있다는 기업도 10곳 중 6곳에 달하는 등 실무 경력이 신입사원 채용에 적지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