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차세대 주력 기종인 에어버스 A350-1000.
아시아나항공이 2020년 도입을 준비하고 있는 에어버스의 차세대 항공기 A350-1000이 공개됐다. 해당 항공기는 동급 중대형 항공기보다 더욱 넓어진 객실 공간과 뛰어난 연료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
에어버스는 30일 서울 강서구 소재 메이필드호텔에서 미디어 간담회를 갖고 A350-1000에 대해 소개했다.
이날 프랑수와 오베 에어버스 A350 마케팅 총괄 이사는 "A350-1000은 에어버스가 항공사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개발한 최첨단 항공기"라며 "높은 효율성과 쾌적한 실내 공간을 자랑하는 기종"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의 차세대 주력 기종인 A350-1000은 최대 440석 규모에 동체 길이 73.78m, 동체 너비 64.75m, 동체 높이 17.08m, 최대 항속 거리 1만4750㎞의 사양을 갖췄다.
A350은 전세계 항공사들이 운용중인 항공기 중 최신예 기종으로 ▲동급 중대형 항공기 대비 확대된 객실 공간 ▲뛰어난 연료 효율성 ▲소음과 탄소배출이 적은 친환경성 ▲기내 습도 및 조명 개선으로 쾌적한 기내 환경 제공 등의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프랑수와 오베 총괄 이사는 해당 기재의 가장 큰 특징으로 높은 호환성을 꼽았다.
아시아나항공의 차세대 주력 기종인 에어버스 A350-1000 기내 모습.
그는 "A350-900, 1000을 놓고보면 두 개 기종의 호환성이 좋고 항속거리도 같다"며 "동일한 호환성을 갖고 있어 항공사 입장에서 운항하는데 유연성이 좋은 것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A350-1000은 에어버스 전 기종간 높은 호환성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A350-900과는 95% 이상 시스템이 호환된다.
해당 기체는 독수리의 비행 모습을 착안한 생체모방 기술을 적용해 가변형 날개로 구성됐다. 또 6개 휠 메인 랜딩 기어와 강력해진 롤스로이스 트렌트 XWB 엔진 등을 탑재했다.
이 외에도 A350-900과 마찬가지로 최첨단 공기역학 설계 기술 등을 적용해 경쟁 기종 대비 기체 운용비가 25%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 2017년 4월 A350-900 1호기를 도입한대 이어, 2025년까지 총 30대의 A350 기종을 도입할 계획으로, A350-1000 항공기는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총 10대가 도입될 예정이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현존하는 최신예 항공기인 A350은 장거리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는 아시아나항공이 차세대 주력기종으로 삼은 모델로, 기내 와이파이와 로밍서비스 등 기존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극대화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