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TV방송

[ME:현장]"웃음 강요 NO!"…'와이키키' 안 웃기면 웃지마라(종합)

JTBC 새 월화드라마 '으라차차 와이키키' 제작발표회 현장. 배우 이이경(왼쪽부터), 고원희, 김정현, 정은선, 손승원, 이주우/메트로 손진영 기자



[ME:현장]"웃음 강요 NO!"…'와이키키' 안 웃기면 웃지마라(종합)

JTBC가 또 한 번 청춘의 이야기를 그린다. 드라마를 표방한 시트콤이기에 웃음은 보장됐다. '으라차차 와이키키'가 보여줄 청춘의 현실은 어떤 모습일까.

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타임스퀘어 아모리스홀에서 열린 JTBC 새 월화드라마 '으라차차 와이키키'(극본 김기호/연출 이창민, 이하 와이키키) 제작발표회에는 배우 김정현, 이이경, 손승원, 정인선, 고원희, 이주우 그리고 이창민 감독이 참석했다.

'와이키키'는 되는 일 하나 없는 세 남자가 운영하는 게스트하우스 와이키키에 정체불명의 아기와 싱글맘이 불시착하며 벌어지는 좌충우돌 에피소드를 그린다.

드라마 '맨투맨', '리멤버-아들의 전쟁', '마녀의 탄생' 등을 연출한 이창민 감독은 '와이키키'를 통해 처음으로 가볍고 밝은 작품을 선보인다.

이 감독은 "재밌는 드라마 하고 싶었다. 젊은 친구들과 새로운 도전을 한다는 느낌으로 시작했고, 기존 드라마와는 조금 다른 작품을 연출하고 싶다는 마음이었다"고 제작 배경을 설명했다.

대세 배우들이 총 출동한다는 점에서 방영 전부터 기대작으로 꼽혔다. 그러나 '대세'라는 이유로 뽑은 것은 아니라고. 이 감독은 "대세 배우라는 건 모르고 뽑았다. 오디션을 통해 뽑은 거다. 단순히 대세라는 것 때문에 뽑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린다"면서 "이 친구들은 몇 년 내에 대세가 될 수 있을 정도로 능력이 있는 친구들"이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김정현, 이이경, 손승원이 각각 동구, 준기, 두식 역으로 분해 게스트하우스에서의 삶을 그려나간다. 또 정인선은 딸 솔이와 함께 게스트하우스에 합류하게 되는 미혼모 윤아로 분한다.

취업 준비생, 무명 배우 등 사회의 중심 아닌 변두리에 있는 청춘들을 그리지만 무겁거나 진지하진 않을 전망이다. 이 감독은 "사회에 있을 법한, 한 번쯤은 누구나 겪어봤을 법한 걸 그리고 싶었다"며 "'N포세대'를 다루기도 하지만 젊은 세대들이 현실에서 겪는 걸 가볍게 다루려고 했다"고 말했다.

언론사 기자를 꿈꾸는 취업 준비생이자 동구의 동생인 서진 역할은 고원희가 맡았다. 남성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코 밑과 턱에 수염이 자라는 설정이다.

고원희는 "제 안에 있는 서진이의 와일드한 면을 꺼내보이고 있다"면서 "언니, 오빠들과 함께 촬영하고 있어서 저만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나오는지를 생각하며 촬영에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우는 동구의 전 여자친구이자 쇼핑몰 모델인 수아 역으로 분한다. 삼각관계의 중심이기도 하다. 이주우는 상대 역인 김정현에 대해 "젠틀하고 매너 좋은 배우다. 첫 촬영 때 좀 많이 떠는 편인데 감정신 같은 게 있을 때 (제가) 여유를 가질 수 있게 옆에서 시간을 벌어준다. 파트너로서 100점짜리다"고 말했다.

이 감독과 배우들은 '와이키키'를 두고 편안하게 웃을 수 있는 작품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 감독은 당초 시트콤으로 기획됐던 이 작품이 드라마가 된 것에 대해 "대본 자체는 시트콤이었는데 도전을 해보고 싶었다. 촬영 자체는 드라마처럼 하고 있다. 억지로 웃음을 강요한다기 보다 늦은 시간대에 편안하고 재밌게 볼 수 있는 드라마라면 어떨까 생각했다. 시트콤과 드라마가 갖는 기대치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또 개인적으로 이런 드라마가 하나쯤 있어도 되지 않을까 했다. 몰입을 할 수 있는 서사는 없다. 웃음을 강요하지 않는 것에 포커스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으라차차 와이키키'라는 제목엔 큰 의미가 담겨 있지 않다. 이 감독은 "이런 얘길 해도 되나 싶다"면서도 "제목에 별 의미는 없다. 신나는 단어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감독, 배우들의 말처럼 '와이키키'가 편안한 웃음으로, 청춘을 대변하는 즐거운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지 기대를 모은다. 5일 오후 11시 첫 방송.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