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구직경험이 있는 구직자와 직장인 5명 2명이 '블라인드 채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
최근 1년 이내 구직활동을 한 구직자와 직장인 10명 중 4명이 블라인드 채용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은 주로 출신학교와 학점을 블라인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구직자와 직장인 75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 5명 중 2명에 달하는 40.0%가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에 응시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블라인드 채용을 경험한 기업은 '공기업(49.0%)'과 '대기업(42.1%)'이 가장 많았다. 채용단계 중에는 '서류전형'에서 지원자 요건의 일부를 블라인드 처리한 경우가 59.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실무자 면접(25.8%)'에서 블라인드 채용을 적용한 곳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블라인드 채용은 이력서에 출신학교, 나이, 성별, 출신지역 등을 표기하지 않는 채용 방식이다. 채용 시 지원자에 대한 선입견을 줄 수 있는 차별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한 취지로 도입됐다.
응답자들이 경험한 블라인드 항목 중 '출신학교(학교명, 소재지역 등)'를 블라인드 처리한 곳이 68.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학업성적(학점 56.3%)', '가족관계(가족관계, 가족의 직업 등 49.3%)'와 '신체조건(키, 체중, 혈액형 등 48.0%)', '외국어 성적(35.1%)', '본적/주소(23.2%)', '한자이름(12.9%)' 순으로 블라인드 처리한 곳이 많았다는 답변이 높았다.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들은 주로 필기시험과 심층면접으로 지원자의 직무 능력을 검증하는 곳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블라인드 채용을 진행하는 기업에서 필기시험(직무능력평가)를 진행했느냐'고 물은 결과 71.2%가 '그렇다'고 답했다.
면접의 경우 다수의 면접관이 한 명의 지원자를 평가하는 '다대일 면접방식(48.9%)'과 '다대다면접(44.4%)'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 질문은 '지원한 직무에 대한 전문지식'에 대한 질문을 받았다는 응답자가 52.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아르바이트 나 타 기업 근무 등 직무경험(35.4%)', '성공/실패한 개인적인 경험(28.1%)', '업무 중 예상되는 상황이나 문제의 해결방식(23.5%)' 등에 대한 질문 순이었다.
하지만 블라인드 채용 방식 확산이 스펙 위주의 채용 관행을 없애고 인성과 직무능력 중심으로 채용이 이뤄지고 있다고 체감한다는 응답자는 15.5% 수준에 그쳤다. '달라지는 것을 잘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46.4%로 가장 많았지만, '현재는 아니지만 앞으로 바뀔 것'이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38.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