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숙대서 한국인 제친 수석 졸업자 나와
새 학기를 앞두고 대학가 학위수여식이 열리고 있는 가운데 고려대와 숙명여대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인 학생들을 제치고 학부 수석을 잇달아 차지해 눈길을 끌고 있다.
25일 고려대와 숙명여대에 따르면, 중국인 유학생 왕핑(24)씨가 고려대 미디어학부 특대생(수석)으로 졸업했고, 케냐인 유학생 망고 제인 앙가르(26)씨가 숙명여대 학위수여식에서 사회과학대 수석의 영예를 안았다.
'대장금' 등 한국 드라마 팬이던 왕 씨는 2012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한국에 유학을 온 뒤 동국대 어학당을 거쳐 2014년 고려대에 입학했다. 왕 씨는 수업 내용을 전부 녹음해서 통째로 암기하는 방식 등으로 공부해 평점 4.5 만점에 평균 4.26을 받아 최우수 졸업의 영광을 차지했다. 수업이 없는 주말을 이용해 식당과 커피숍 서빙 알바 등을 하면서 한국어를 익혔다. 고려대에서 외국인 학생이 학부나 단과대 수석 졸업 사례는 왕 씨가 처음이다.
왕 씨는 졸업과 동시에 중국의 IT 기업 네티스에 고급 통번역 담당으로 취지했다. 왕 씨는 "한국어 너무 좋아서 계속 살고 싶다"면서 "한국 미디어 대기업에 취직해 '도깨비' 같은 한국 드라마와 영화·예능을 중국에 수출하는 일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앞서 지난 23일 숙명여대 학위수여식에서 사회과학대 수석 졸업장을 받은 케냐 유학생 앙가르 씨 역시 숙대 사상 첫 외국인 유학생 출신 수석 졸업자다.
케냐의 정치 상황과 비슷한 한국 민주화 과정에 대한 관심으로 한국행을 결심한 앙가르 씨는 2014년 숙대 유학을 와 낯선 학습환경과 부족한 한국어 실력으로 걱정이 컸지만, 학교 과제 외에도 수업과 관련한 신문 기사 스크랩, 도서, 영화 등을 찾아 공부하면서 우수한 성적을 받았다. 특히 4년 내내 학기우등상 등 최우등상을 받아 전액장학금을 받았고, 졸업학점은 4.3 만점에 4.18로 사회과학대학장상을 차지했다.
앙가르씨는 "한국처럼 케냐도 독재를 거쳐 민주화가 발전하는 과정에 있다"면서 "한국에서 석사과정을 밟으면서 정치권력과 재벌의 관계를 연구하고 싶고, 훗날 케냐에 돌아가 정치학자로 일하면서 도서관을 짓는 게 꿈"이라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