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확산 속, 10명 중 6명 "데이트폭력 직·간접 경험해"
데이트폭력 피해자 38% '별다른 조치 취하지 않았다'
데이트폭력 피해자 38%,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인크루트
성폭행과 성희롱 행위를 폭로하는 미투(Me Too)운동이 확산되는 가운데, 성인남녀 10명 중 약 6명이 데이트폭력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데이트폭력 피해자 10명 중 4명은 피해를 당하고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취업포털 인크루트(www.incruit.com)가 자사 회원 634명을 대상으로 '데이트 폭력이나 그로 의심되는 일을 목격하거나 경험해본 적이 있는지'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3%가 '목격한 적 있다'고 답했고, 15%는 '직접 경험한 적 있다'고 답했다.
직접 피해경험이 있다는 피해자에게 물은 결과, 처음 시작된 폭력의 유형은 '감정적·언어적 측면(모욕, 고함, 폭언, 협박, 위협 등)'(40%)이 가장 많았다. 이어 '통제적 측면 (간섭, 감시, 통제 등)'(35%), '성적 측면 (강제 추행, 강제 스킨쉽 등)'(13%), '신체적 측면 (팔목을 비튼다, 세게 밀친다, 뺨을 때렸다 등의 폭력)'(9%) 순으로 사례가 많았다.
특히 피해 당사자의 상당수(38%)가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들이 별대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는 '단순한 사랑 싸움 중 하나라고 여겼거나', '내 잘못도 있다고 판단'(각 21%)이 가장 많았다. 이어, '상대방을 사랑하기에'(14%), '보복이 두려워서'(13%), '그렇게 심한 폭력은 아니어서'(11%) 등의 이유로 피해사실을 묵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데이트폭력 발생빈도는 '교제 이후 3개월~6개월 미만'(31%)에서 가장 높았다.
데이트폭력 근절을 위해 어떤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지 묻는 질문에는 39%의 가장 많은 응답자가 '가해자 처벌 강화'를 꼽았고, '단순 치정으로 인식하는 사회의식의 전환(19%)', '연인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12%)', '피해자의 법적 보호 방안 마련(7%)' 등의 답변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