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율 1위는 '1년차 이하 신입사원'... 1년 이내 49% 그만뒀다
최근 1년간 1년차 이내 신입사원 10명 중 5명꼴로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퇴사 이유는 이직이 가장 많았고, 인사담당자들은 이직으로 인한 가장 큰 고민으로 업무 공백과 사기저하를 꼽았다.
6일 사람인(www.saramin.co.kr)이 기업 인사담당자 657명을 대상으로 '퇴사자 현황과 변화'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직원 퇴사율은 평균 17%였고, 1년차 이하 신입사원의 퇴사율이 49%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밝힌 지난 1년간 평균 퇴사율은 '10%미만'이 32.3%로 가장 많았고, '10~20%'(24.5%), '20~30%'(15.2%), '30~40%'(11.4%) 등이 뒤를 이었다. '한 명도 없다'는 기업은 11.7%였다. 적어도 1년에 1명 이상의 퇴사자가 있는 셈이다.
퇴사가 가장 많은 시기는 '12월'(17.6%), '2월'(12.6%), '1월'(11.6%) 순으로, 인사이동이나 연봉협상이 있는 연말연초였다.
직원 연차별로 '1년차 이하' 신입사원 퇴사율(49%)이 가장 높은 가운데, '2년차'(20.9%), '3년차'(13.4%), '4년차'(5%) 등으로 연차가 높아질수록 퇴사율이 감소했다.
성별로 남성 퇴사자 비율이 50.3%로 여성(26.4%)보다 23.9%p 높았다.
퇴사자 발생으로 인해 인사담당자의 가장 큰 고민은 '공백기로 인한 업무 차질'(55.5%)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직장 내 사기저하'(19.1%), '대체 인력 채용을 위한 비용 발생'(13.1%), '정보, 기술 등 유출'(3.6%), '관계사, 고객 등과의 관계 차질'(3.3%) 등을 신경 쓰고 있었다.
퇴사 사유에 대해 인사담당자와 직원은 서로 다르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들이 회사에 밝힌 퇴사 사유(복수응답)로는 '이직'(41.7%)이 1순위었고, '업무 불만'(31.2%), '연봉불만'(24.3%), '상사와의 갈등'(13.1%), '복리후생 부족'(12.2%), '잦은 야근 등 '워라밸' 지키기 어려워서'(12.1%), '기업 문화 부적응'(10.5%) 등이었다. 반면 인사담당자들은 퇴사 이유 1위를 '연봉 불만'(40.3%)이라고 보고 있었으며, 이어 '이직'(25.9%), '업무 불만'(23.3%), '워라밸 중시 등 가치관 상이'(15%) 등을 실제 퇴사 사유라고 생각했다.
회사차원에서 퇴사율을 줄이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퇴사율을 낮추기 위해 '복지 혜택확충'(35%, 복수응답)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근무환경 개선'(34.4%),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확립'(29.1%), '워라밸 지키기 위한 조직문화 개선'(18.6%), '장기근속자 포상'(17.4%), '인력 확충 통한 업무 강도 개선'(16.1%)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