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역학 분야 세계석학 12인에 강사라 UNIST 교수
기후역학 전문위원 선임
UNIST 도시환경공학부 강사라 교수 /UNIST
UNIST(총장 정무영)는 도시환경공학부 강사라 교수가 전 세계 기후역학 연구를 주관하는 '기후역학 전문위원(Climate Dynamics Panel)으로 선임됐다고 6일 밝혔다. 강 교수는 올해부터 2020년 12월까지 3년간 활동한다.
기후역학 전문위원은 세계 기후연구계획(WCRP)의 4대 중점사업인 '클라이바'(CLIVAR, Climate and Ocean: Variability, Predictability and Change) 산하에서 활동하는 12명의 기후역학 분야 석학이다.
이들이 모여 활동하는 기후역학 전문위원회는 기후역학에 대한 과학적인 진보와 연구의 우선순위를 검토하고, 각종 지침과 권고사항을 내놓는다. 또 기후역학 분야 과학역량 개발을 위한 여러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클라이바는 주로 기후와 해양의 변동성과 예측가능성, 그리고 변화를 다룬다. 대양과 대기가 짝지어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역학이나 상호작용, 예측가능성 등을 이해하는 게 주목적이다. 클라이바 산하에는 기후역학 전문위원회를 포함해 총 4개의 국제 전문위원회가 있다. 여기에 소속된 전문위원은 50여 명인데, 이중 한국기관 과학자는 강사라 교수가 유일하다.
강사라 교수는 "기후역학 전문위원으로 선정됐다는 초청장을 받았을 때 믿기 어려울 정도로 감격스러웠고 영광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를 계기로 세계 기후연구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강 교수의 기후역학 전문위원 선임은 국내 기후연구 저변 확대에 기여할 전망이다. 기후역학 연구는 국제 공동연구의 성격이 짙어 국제사회 연구자간 네트워크가 중요하고 강 교수의 국제 활동이 후학들에게 국제무대 진출에 발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강 교수는 "학생들이 국제사회에 노출되면서 연구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져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저의 활동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서울대를 졸업하고 프린스턴대에서 대기해양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1년부터 UNIST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계기후연구계획은 세계기상기구(WMO), 국제과학위원회(ICSU), 유네스코(UNESCO) 산하 정부간해양학위원회(IOC) 세 기관이 공동 설립했으며, 전 세계 기후 관련 연구 방향을 기획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