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롯데 황각규 부회장(왼쪽 두번째)은 베트남 하노이에서 응웬쑤언푹 베트남 총리(왼쪽 세번째)을 만나 현지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롯데지주
'바쁘다 바뻐' 롯데 부회장단, 총수 공백 메우기 총력
신동빈 회장 구속 이후 비상경영체제를 선언한 롯데그룹이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을 중심으로 '총수 공백'을 메우기에 총력을 가하고 있다.
지난해 조직된 4개 사업부문(유통·화학·식품·호텔&서비스)을 이끄는 부회장단도 각 사업부문에서 동분서주하고 있다.
11일 롯데에 따르면 황 부회장은 지난 8일 베트남을 방문해 응웬 수언 푹 베트남 총리와 면담하고 현지 투자 확대 및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롯데는 1990년대 식품·외식사업 부문을 시작으로 유통·서비스·건설 등 그룹의 핵심사업이 잇달아 베트남에 진출하며 활발하게 사업을 펼치고 있다. 베트남에는 롯데제과,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지알에스, 롯데시네마, 롯데자산개발, 롯데호텔, 롯데면세점 등 16개 계열사가 진출해 있으며 1만1000여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황 부회장은 이날 면담에서 "롯데가 베트남에서 진행하고 있는 사업들에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하고 "롯데는 앞으로도 다양한 사업부문에의 투자와 고용 창출, 사회공헌활동 등을 통해 베트남과 함께 성장해 나가는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평소 가으면 신 회장이 직접 방문했겠지만 총수가 부재한 상황에서 황 부회장이 사업의 중요도를 고려해 직접 회장 대행 역할을 했다.
황 부회장은 한일 롯데 간 연결고리 역할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쓰쿠다 다카유키(佃孝之) 사장 등 일본롯데홀딩스 핵심 경영진과도 수시로 소통하며 재점화 조짐을 보이는 총수 형제간 경영권 분쟁에도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 부문을 총괄하는 허수영 화학BU 부회장도 황 부회장을 도와 조직 안정화에 집중하고 있다. 황 부회장은 이달 중 롯데케미칼과 롯데첨단소재 중국 자회사와 여수, 대산, 울산의 국내 사업장을 방문할 계획이다. 오는 5월에는 동남아 출장길에 올라 말레이시아 롯데케미칼 타이탄 사업장을 점검할 예정이다. 말레이시아 방문 기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아시아석유화학회의(APIC)에 참석한다.
허 부회장은 오는 6월에는 롯데첨단소재, 롯데정밀화학, LC UK 등 유럽 현지 사업장을 차례로 방문할 예정이다.
식품 부문을 총괄하는 이재혁 부회장은 국내외 사업장 정기교류 강화를 통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식품 부문이 강한 일본 롯데와의 교류를 확대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방침이다.
지난해에도 10여 차례 이상 진행한 한일 롯데 식품 계열사간 교류회는 이달 말까지 마케팅, 영업, 생산, 연구, 글로벌 등 분야에서 5차례 이상 진행될 예정이다.
송용덕 부회장이 총괄하는 호텔&서비스BU도 최근 롯데호텔, 롯데JTB, 롯데면세점, 롯데홈쇼핑 등 주요 관광·유통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지난해 12월 오픈한 일본 롯데 아라이리조트 패키지 상품을 개발하는 등 일본과의 시너지를 강화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