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학 논문이나 특허 형태의 신기술을 사업화하는 '실험실 창업' 활성화에 나선다. 고부가가치 대학 창업을 활성화해 고용 창출 효과와 창업기업 생존율을 높인다는 취지다.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올해 처음으로 대학 5곳 내외를 선정해 지원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은 교육부, 과기정통부, 중소벤처기업부가 협력해 대학 교원이나 석·박사과정 학생 등의 '실험실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24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실험실 창업이란 대학에서 논문이나 특허 형태로 보유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에 없던 새 시장을 창출하는 기술 집약형 창업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아이디어 창업'과는 구별된다. 때문에 일반 창업과 비교해 고용 창출 효과와 기업 생존율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정부는 중기부가 선정해 지원하는 창업선도대학 43곳 중 실험실 창업 지원 의지가 강하고 연구 성과가 우수한 5곳 내외의 대학을 실험실 창업 선도대학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대학에는 기술창업 인재 발굴·육성과 지속가능한 창업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바이오 나노 등 창업 유망기술 발굴, 사업화 가능성 검증 등이 지원된다.
또 중기부 창업 프로그램에 별도 트랙을 신설해 창업공간과 시제품 제작 등 후속지원도 받도록 할 계획이다.
2012년 창업진흥원 자료를 보면, 2000년~2010년까지 10년간 실험실 창업 기업의 평균 고용 규모는 9.5명으로 일반창업 평균 2.85명과 비교해 3배 이상의 고용효과를 낸다. 또 공공기술기반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80% 이상으로 일반창업 기업(27%)보다 약 3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실험실 창업이 활성화된 미국은 1990년대 이후 스탠포드대, MIT 등 대학을 중심으로 창업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 스탠포드대 졸업생은 4만개 기업을 창업했고, 총 500만개 일자리를 만들었고, MIT 졸업생도 실험실 창업을 통해 매사추세츠 주에서만 100만여개 일자리를 만든바 있다.
정부는 지난해 3월 '대학발 창업활성화방안'을 발표한 뒤, 교육부가 창업 친화적 메뉴얼 개발·보급, 창업 컨설팅에 나섰고, 과기정통부도 작년 5월 고려대·연세대·한양대 3개 대학을 '과학기술기반 창업 중심대학' 시범대학으로 선정해 대학 창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한편 국내 대학의 창업 현황을 보면 학생창업 기업 수는 1191개, 총 매출액은 143억원, 교원창업 기업은 195개에 매출액 25억여원이었다. 창업친화적 학사제도 운용 대학은 271곳, 창업강좌는 1만461개, 창업동아리는 5468개 등 대학의 창업 기반은 확대되고 있으나, 창업 기업의 고용과 매출 성과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태다.
김영곤 교육부 직업교육정책관은 "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술 창업의 선두주자가 되길 기대한다"며 "이번 사업을 통해 학부에서 대학원에 이르는 연결성 높은 창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우수 창업 인재가 지식·기술을 고도화해 창업하도록 대학원 실험실 창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