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수 논란을 겪고 있는 한국GM이 정상화 하려면 가동률을 높이고 고정비용을 연 9000억원 줄이는 것과 함께 1조원 이상의 금융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김수진 수석연구원은 15일 '한국지엠의 정상화 가능성 검토' 보고서에서 "한국GM의 정상화 요건은 가동률 제고와 원가율 하락, 금융조달"이라며 "3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GM은 본사인 GM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높아 GM의 글로벌 전략 변화의 영향으로 2014년 이후 실적이 크게 악화했으며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것.
한국지엠 매출액의 약 70%는 계열사 수출이다. GM이 유럽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한국GM의 매출액도 2013년 15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10조7000억원으로 급감했다. 그 결과 2014∼2017년 누적 손실액이 3조원에 육박하며 현재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김 연구원은 "한국GM이 정상화되려면 우선 과잉 생산능력을 해소하고 신규 생산물량을 확보해 가동률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GM의 생산 가능 규모는 91만대이다. 그러나 지난해 생산량은 52만대에 불과했고 2020년 이후로는 추가로 17만대 가량이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해 총생산량의 25%를 차지한 오펠향 수출이 2019년 끝난다. 또 군산공장 폐쇄로 크루즈, 올란도도 단종된다. 여기에 환경규제로 2020년이면 경상용차인 다마스, 라보도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GM이 본사로부터 연 10만대 이상 팔릴 수 있는 신차를 배정받더라도 적정가동률을 유지할 수 있는 설비 규모는 60만대 이하다. 이 때문에 김 연구원은 설비 규모를 60만대 이하로 줄여 과잉 생산능력을 해소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축소된 생산능력에 맞춰 연 8000억∼9000억원의 고정비용 절감이 필요하다고 봤다. 인건비와 본사 차입금을 줄여야 한다는 것. 2016년 기준으로 한국GM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12%이다. 이를 2010∼2013년 수준(평균 8.1%)으로 돌리려면 인건비 총액을 6000억원 이상 줄여야 한다. 또 본사가 차입금을 전액 출자전환해 연간 이자비용(1300억원)을 줄이고, 업무지원비(750억원 내외)나 연구개발비(6000억원) 절감대책도 필요하다.
차입금 출자전환과 1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도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GM은 현재 완전자본잠식 상태지만 GM이 3조원 규모의 차입금을 출자전환하면 자본 확충 문제는 끝난다. 그러나 인력조정 등 구조조정을 위해서는 1조원 가량의 현금 유입이 필요하다.
김 연구원은 "구조조정 노력이 매몰비용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단기 유동성 지원 외에 장기적인 경쟁력 강화 지원이 동반돼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신규 투자 금액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한국GM은 본사의 의지와 노조의 협조, 신규 투자 유치가 모두 충족돼야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