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여교수회 등 44개 대학 여교수회가 18일 미투(#metoo) 운동을 지지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선언문 캡처
전국 44개 대학 여교수회가 18일 '미투(#metoo)' 운동을 지지하는 선언문을 발표하고 미투 피해자들에 대한 지지와 연대의 뜻을 밝혔다. 국내 대학 평교수 조직이 수평적으로 연대해 특정 사회운동에 대해 지지 선언문을 공동으로 발표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날 서울대학교 여교수회에 따르면, 서울대 여교수회가 발의한 '미투는 우리 사회의 구조와 체질을 바꾸는 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제목의 공동 선언문에는 강원대, 건국대글로컬캠퍼스, 경기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광주대, 명지대, 목포대, 부산대, 서강대, 서울과기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아주대, 연세대, 영남대, 이화여대, 조선대, 전남대, 중앙대, 한국방송통신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 전국 44개 국공립대와 사립대 여교수회와 일반 교수들이 참여했다.
선언에 참여한 교수들은 한국 사회에 묻혀 있던 성폭력, 성희롱, 성차별의 문제가 미투 운동을 통해 겉으로 드러났다면서 미투운동이 사회 전반을 개혁하는 운동으로 진화해 간다면 한국사회 성장을 위한 값진 기회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선언문에서 이들은 "쏟아져 나오는 미투(#metoo)와 위드유(#withyou) 목소리는 오랫동안 누적된 성차별과 일상화된 여성 비하라는 구조적 문제를 표출하고 있다"며 "우리사회의 노동 문화·조직문화의 후진성, 구성원 간 상호 존중의 부재, 권력의 오남용 등은 서로 연관된 미투운동의 본질적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들은 "미투가 폭로나 고발에 그치지 않아야 하며 정파적 대립으로 인해 운동의 의미가 왜곡되어 해석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선정적인 폭로 경쟁 속에 묻히거나 정치적으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자 하는 다툼의 산물로 축소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입장도 밝혔다.
대학 내 성폭력 실태에 대해서도 "학교는 모든 구성원이 안전하게 자기 성장을 도모하는 환경이어야함에도 불구하고 성폭력과 성희롱, 성차별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며 "이번 운동이 대학 사회에 변혁을 가져오도록 우리부터 더 적극적인 자세로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미투 운동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도와 문화 개선을 위해 차분하고 합리적인 논의가 진행되어야 한다"며 "특히 정부는 이 기회를 지속가능하고 실행가능한 구체적인 정책으로 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서울대 여교수회 전화숙 회장은 "이번 선언을 준비하면서 여교수들의 폭발적이고 뜨거운 호응에 놀랐다"면서 "전체 대학의 평교수 조직의 역락망조치 없었던 상태에서 단 며칠 만에 44개 학교가 선언에 동참했다는 것은 미투 운동에 대해 이미 깊은 공감대가 형성됐고,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화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는 증가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