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한 달 동안 전국 초·중·고에서 '우리 땅 독도 사랑' 계기수업 실시
일본이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을 개정해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내용을 의무교육토록 추진하는 데 대응해 우리 교육부가 오는 4월 한달 간 전국 초·중·고교에서 '우리 땅 독도 사랑'을 주제로 계기 수업을 실시하는 등의 대응 방안을 22일 내놨다.
전날(21일) 일본 문무과학대신을 만나 비공개로 '학습지도요령 최종본에 올바른 방향이 담길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언급하는 수준에 그친 것을 두고 소극적인 대응이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22일 교육부는 일본 정부의 계속되는 독도 영토·역사 왜곡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4월 한 달 동안 전국 초·중·고에서 '우리 땅 독도 사랑'을 주제로 한 계기수업을 실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2018년 독도교육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고유 영토'로 명기한 고교 학습지도요령 개정안을 공개하고, 도쿄 중심지인 히비야공원 내에 독도영토 주권 전시관을 개설하는 등 독도 주권 도발을 심화하는데 따른 대응이다.
교육부는 학교 계기수업 운영과 함께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등 전국 독도 체험처를 발굴해 안내하고 '찾아가는 독도전시회', '독도전시관', 독도체험 발표 대회' 등을 여는 한편, 학생 참여형 수업을 위한 독도교육 자료 개발과 교사들의 '독도교육실천연구회'를 확대 운영키로 했다.
특히 독도 전시회는 광화문 세종이야기(~4.18일), KTX동대구역(4.9~4.15일)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일본의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의 실상과 함께 독도가 우리 영토인 근거를 중심으로 전시물을 구성해 독도에 대한 공감대 확산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서울 독도체험관에서는 '독도빵 나눠주기', '독도 등고선 모형 만들기', '독도인형극', '독도 VR체험' 등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하지만 독도 문제가 양국 교육 문제로 커졌고, 다자간 교육협력을 모색하는 한·일·중 3국 교육장관회의 본회의에서 정식 발언하지 않고 비공개로 언급한 수준에 그쳐 소극적인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21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중 교육장관회의에 앞서 비공개로 열린 한일 양자회담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문부과학대신을 만나 "2월 14일 발표된 일본 고교 개정 학습지도요령 초안의 독도 문제와 관련, 최종본에 올바른 방향이 담길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양자회담이 비공개로 진행된 점과 외교적 문제를 고려해 김 부총리 발언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은 답변하기 어렵다"고 해명했다.
앞서 일본 문부과학성은 지난달 14일 발표한 일본 고교 개정 학습지도요령 초안에서 일본의 독도 영유권 교육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넣었다. 개정안은 고교 역사총합(종합)과 지리총합, 공공 과목에서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의 명칭)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열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고 가르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