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인상 요소는 표정·눈빛이 1위, 자세·태도, 말하는 내용도 중요
인사담당자가 꼽은 지원자의 첫인상 결정요인 /잡코리아
기업 면접시 첫인상이 중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기업 인사담당자들은 채용 면접에서 지원자의 첫인상을 결정하는데 평균 10분 5초가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기업 인사담당자 351명을 대상으로 '면접 첫인상'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인사담당자 대다수(95.7%)는 직원 채용시 면접에서 받은 인상을 채용평가에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자 인상을 채용기준의 하나로 고려하는지 물은 결과 59.5%가 '고려하는 편'이라고 답했고, '영업·서비스 등 일부 직무에 한해 고려한다'(24.2%), '상당히 고려한다'(12.0%) 등으로 첫 인상을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3%에 불과했다.
면접에서 지원자의 첫인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57.1%로 집계됐다. 응답 내용을 일정 구간별로 묶어보면 ▲50% 수준을 꼽는 응답 비중이 21.7%로 가장 높았고 ▲70% 수준도 21.1%로 나타났다. ▲80% 이상 수준도 19.4%로 높아 대체로 첫인상이 면접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느끼고 있었다. 반면 첫인상의 차지하는 비중을 ▲30% 이하의 수준으로 낮게 보는 인사담당자는 16.2%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면접에서 첫인상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복수응답)로는 ▲표정·눈빛(57.3%), ▲자세·태도(55.8%) ▲말하는 내용(53.0%)이 각각 50% 이상의 응답률을 얻으며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또 ▲발음·어조 등 말하는 방식(26.5%)과 ▲발성·음색·성량 등 목소리(16.8%) ▲전체적인 분위기(16.2%) 등도 첫인상을 가르는 주요 요건으로 꼽혔다. 그밖의 응답으로는 ▲이목구비·체형 등 외모(10.3%)가 있었으며 ▲화장·헤어스타일·복장을 꼽는 응답률은 9.4%에 그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사담당자 45%는 '첫인상과 달리 면접 내용이 기대 이하였던 적이 있다'고 답했다. '첫인상보다 면접 내용이 기대 이상인 적이 있다'는 응답은 34.5%, '첫인상이 적중했다'는 응답은 20.5%로 나타났다.
면접 내용이 첫인상에 못 미치는 경우 탈락할 확률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첫인상과 면접내용의 일치여부에 따른 면접전형 결과를 살펴본 결과 첫인상에 비해 면접내용이 '기대 이하'인 경우 탈락 비중이 41.1%로 가장 높았다. 반면 '첫인상을 적중'한 경우 탈락 비중은 22.2%, '첫인상보다 기대 이상'인 경우는 8.3%로 눈에 띄게 탈락 비중이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