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미래 사라질 직업 1위 '번역가', 생존 직업 1위는 '연예인'

직장인 43.5% "향후 내 일 없어질 듯"

미래 사라질 직업 Vs 살아남을 직업 /잡코리아·알바몬



AI(인공지능)와 가상현실 등 첨단 기술이 미래를 바꾸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향후 직업 전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래 사라질 직업 1위로 '번역가'가, 살아남을 직업 1위에는 '연예인'이 꼽혔다.

2일 잡코리아와 알바몬(www.albamon.com)이 공동으로 직장인과 취업준비생 4147명을 대상으로 '미래에 사라질 직업 Vs 살아남을 직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설문 결과, 미래 사라질 것으로 생각되는 직업(복수응답)으로 번역가(31.05%)를 꼽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캐셔/계산원(26.5%), 경리(20.0%), 공장근로자(18.8%), 비서(11.2%)가 톱 5에 올랐다. 이밖에 서빙/매장관리(10.5%), 데이터베이스관리자(9.7%), 약사(9.3%), 배조종사(8.9%), 택배원/배달원(8.5%)이 10위권으로 나타났다.

이 직업들이 향후 사라질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이 기술을 컴퓨터나 로봇이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아서(93.2%)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외에 가 응답률 93.2%로 압도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일이라서(17.1%) ▲장래성이 없어 보여서(7.5%) ▲위험한 일이어서(2.4%) 등의 순이었다.

반면, 향후 인공지능이나 로봇의 대체가 어려울 것 같은 직업으로는 연예인(33.7%)이 1위였다. 이어 작가(25.7%), 영화/연극감독(23.0%), 운동선수(15.4%), 화가/조각가(15.0%), 사회복지사(10.6%), 경찰관/소방관(10.3%), 교사(10.3%), 간호사(10.1%), 미용사/이발사(9.8%) 등이었다.

한편, 이번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43.5%는 향후 자신의 직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업종별로 ▲재무·회계직(73.0%) 직장인이 향후 자신의 직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답해 가장 많았고 ▲인사·총무직(56.6%) ▲고객상담직(54.3%) ▲생산·제조직(53.7%) ▲마케팅·홍보직(51.7%) 등의 순이었다.

반면 ▲전문직 분야 직장인(21.2%)이나 ▲디자인직(29.6%) ▲기획·전략직(30.4%) ▲연구개발직(30.8%) 근무 직장인들은 타 직무에 비해서 향후 자신의 일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인공지능과 로봇으로 대체 가능성이 높은 직업들은 대체로 단순 반복적인 일이거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일을 하는 직업들이 많이 꼽혔다"며 "반대로 대체 가능성이 낮은 직업들은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거나 인간의 감정을 다루는 일, 예술 활동 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