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리고, 또한 깊이 감사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제주를 어루만졌다.
4·3항쟁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도 약속했다. 유족과 생존희생자들을 위한 배상과 보상 등도 국회와 함께 적극 해결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노 전 대통령도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4·3에 대해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희생자와 유족, 제주도민에게 사과한 바 있다.
2000년 당시 김대중 정부는 4·3진상규명특별법을 제정해 진실을 밝히기 위한 첫 걸음을 내딛였다.
이날 4·3항쟁 70주년을 맞아 문 대통령이 추념식에 또다시 참석, 사과하고 풀리지 않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더 이상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며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지속적인 유해 발굴 사업과 유족들과 생존희생자들의 상처와 아픔 치유를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를 위해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4·3의 완전한 해결이야말로 제주도민과 국민 모두가 바라는 화해와 통합, 평화와 인권의 확고한 밑받침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여전히 4·3에 대해 색안경을 끼고 보는 일부의 보수적 시각에 대해선 직격탄을 날렸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이제 우리는 아픈 역사를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 불행한 역사를 직시하는 것은 나라와 나라 사이에서만 필요한 일이 아니고 우리 스스로도 4·3을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제 대한민국은 정의로운 보수와 정의로운 진보가 '정의'로 경쟁해야하는 나라가 돼야 한다. 공정한 보수와 공정한 진보가 '공정'으로 평가받는 시대여야 한다"면서 "정의롭지 않고 공정하지 않다면 보수든, 진보든 어떤 깃발이든 국민을 위한 것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4·3의 진상규명에 대해 "불행한 과거를 반성하고 인류의 보편가치를 되찾는 일"이라며 "4·3의 명예회복은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으로 나가는 우리의 미래"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후보자 시절 "(4·3추념식에)대통령 자격으로 참석해 국가적 추념행사로 위상을 높이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날 문 대통령은 또 역대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행방불명인 표석 및 위패봉안실에 방문해 4·3 영령들을 추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