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첫 질문 막히면 떨어져요" 구직자 괴롭히는 징크스 1위

구직자 4명 중 1명 "취업 징크스 있다"

구직자들이 겪는 징크스 사례 /사람인



주변의 현상이나 징조가 원인이 되어 중요한 일을 실패한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징크스'라고 불리는 이런 현상이 취업을 목표로 한 구직자들에게는 어떻게 나타날까.

4일 사람인(www.saramin.co.kr)이 구직자 1502명을 대상으로 '취업 징크스'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27.1%가 '취업 징크스라고 생각되는 것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신경 쓰이는 징크스(복수응답) 1위로는 ▲첫 질문부터 막히면 불합격할 것 같은 '첫 질문 징크스'(57%)가 꼽혔다. 이어 ▲이유 없이 물건 등이 떨어지거나 깨지면 불합격 할 것 같은 '낙하 징크스'(28.7%) ▲버스·지하철 등을 놓치면 운이 안 좋을 것 같은 '대중교통 징크스'(24.1%) ▲악몽을 꾸면 운이 안 좋을 것 같은 '꿈 징크스'(20.9%) ▲비,눈 등 날씨에 따라 운이 안 좋아질 것 같은 '날씨 징크스'(20.6%) 등이 있었다.

취업 징크스가 있다는 응답자 중 66.6%는 취업실패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취업 징크스가 신경 쓰이는 시점도 평균적으로 구직활동을 시작한지 4개월이 지난 후부터였다. 장기간으로 지속되는 취업 준비가 불안감을 증폭 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취업 징크스를 신경 쓰지 않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으로 마인드 컨트롤을 한다'(61.4%,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다른 생각이나 일에 집중한다'(29.5%), '징크스 상황을 의식적으로 피한다'(23.1%), '행운이 오는 다른 상황을 생각한다'(13.5%) 등을 선택했다.

설문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취업 준비를 하면서 징크스 말고도 심리적인 변화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변화는 '이유 없는 불안감이나 초조함에 시달린다'(35.5%)가 가장 많았고, '자존감이 매우 낮아졌다', '아무 의욕 없이 무기력해졌다', '사소한 일에도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일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5.7%)', '대인기피증이 생겼다'(1.9%) 등 심각한 변화도 소수 있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