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6년제 전환하려면, 타 학과 정원 줄이거나 교원 수 등 교육 여건 높여야
교육부가 9일 '약학대학 학제 학제 개편안'을 공개했다.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대입을 치르는 2022학년도부터 대학이 약대를 현행 2+4년제로 할지, 통합 6년제로 할지 자율로 선택하도록 한 것이 골자다.
현행 2+4편입제로 입학하는 약대는 약사의 전문성 강화 등을 위해 지난 2009학년도부터 도입됐다. 주로 화학과나 생물학과 등 약학과 관련이 있는 타 학과 등에서 2년 이상 기초·소양 교육을 이수한 후 약대에 편입해 4년의 전공교육을 이수하는 체제다.
통합 6년제는 처음부터 고등학교 졸업자를 신입생으로 선발해 6년간 기초·소양 교육과 전공 교육을 이수하는 교육체제다.
이번에 대학들이 통합 6년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이유는 현행 2+4편입제로 인해 자연계열 학생들이 약대 편입을 위해 이탈하거나, 약학 기초교육과 전공교육간 연계성 약화, 과도한 사교육비 부담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조치다.
모든 약대가 통합6년제로 전환하면 2022학년도 약대 신입생 선발인원은 1700여 명이 된다. 하지만 전국 35개 모든 약대가 통합 6년제로 전환할지는 아직 미지수다.
통합 6년제로 전환하려면 기존의 편입학 정원 이외에 2년의 약학 교육과정이 추가됨에 따라 편제정원이 증가해 타 학과 정원을 줄이거나, 교원 수를 늘리는 등 교육 요건을 갖춰야하기 때문이다.
교육부도 "통합6년제로 전환한 약대가 편제정원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학 내 타학부 정원 감축 등 자체 정원 조정을 하지 않는 경우 4대 요건(교사·교지·교원·수익용기본재산) 충족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통합6년제로 전환하는 대학에 대한 이행점검을 실시해, 4대 요건 미충족 시 학생 모집 정지 등 강력한 행정제재 조치를 부과한다는 방침이다.
실제로 교육부가 올해 초 35개 약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모든 대학이 '여건이 되면 통합 6년제로 전환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당수 약대가 타 학과 정원을 감축하지 않고 통합6년제 교육여건을 확보하고 있지는 않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에 대해 "모든 대학이 교육여건을 확보하고 있지는 않다"며 "통합 6년제를 희망하는 대학들은 시행전까지 교육여건을 충족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아울러 학제 전환의 조건으로 '공공성 제고 방안'도 따질 계획이다. 수급권자·차상위계층·한부모 가족지원대상자 등 경제적 취약계층 학생을 약대 입학정원의 7% 이상 정원 외로 선발해야 한다.
또 지방 소재 약대의 경우는 해당 지역의 고등학교 졸업자를 약대 입학정원의 30%(강원·제주권은 15%) 이상 선발하도록 했다.
이진석 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장은 "약학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대 학제 개편안을 마련한 만큼, 변경된 학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에 교육여건 개선 등을 위한 각 약대의 충분한 준비가 있어야만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통합 6년제 도입하는 약대의 경우 학부 신입생 졸업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2026~2027년) 약사 배출 인원의 감소로 인해 약사인력 수급 확보에 차질도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통합 6년제 도입 약대에 대해 한시적(2022~2023년)으로 편입학을 병행토록 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