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교육회의 숙의 거친 뒤 8월 확정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치르게 될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의 윤곽이 드러났다. 수시와 정시가 통합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치러지고, 수능은 전과목 절대평가나 최소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 전환이 유력하다.
교육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이 같은 내용의 대학입시제도 개편방안을 공개하고 국가교육회의에 이송해 공론화를 거쳐 최종안을 오는 8월까지 확정하기로 했다.
■ 수시·정시 통합, 수능 이후 선발
개편방안을 보면, 기존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으로 나눠 실시하던 대입이 하나로 통합돼 수능 이후 전형을 치르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 경우 수능은 현재보다 2주 앞당긴 11월 1일 치러지고 대학별 전형기간은 2개월 단축된다.
현행 수시모집에서 학생부 성적은 3학년 1학기까지만 반영됐으나, 수시·정시 통합 선발로 전환되면 학생부 교과성적과 출결상황이 고3 2학기까지 제공된다.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이 통합 선발로 바뀌더라도 학생들의 지원 기회는 총 6회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입시에서 학생 1인당 평균 지원횟수가 수시 4.6회, 정시 2.8회였던 걸 감안하면 학생들의 대학 선택 기회는 소폭 줄어들 전망이다.
■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 원점수제 전환 검토
수능 평가방법은 현행 영어와 한국사 이외에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 9등급제로 전환하는 방안이 1안으로 제시돼 유력하다. 이 경우 변별력 약화 우려를 감안해 대학들이 수능 100% 전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동점자 처리시 예외적으로 원점수를 제공해 활용하도록 했다.
수능 점수로 줄세우기 방지를 위해 수능 100% 전형 외에서 원점수 활용은 제한된다.
현재 절대평가인 수능 영어와 한국사에 추가로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로 치르는 방안이 2안으로 제시됐다. 제2외국어/한문의 경우 아랍어 등 특정언어 선택에 따른 유불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취지다.
또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도입된 '통합사회·통합과학' 교과목이 수능에 포함될 경우 절대평가로 평가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절대평가인 영어·한국사와 제2외국어/한문을 절대평가 등급으로 제공하고, 나머지 국어·수학·탐구 과목을 원점수제로 전환하는 방안도 3안으로 제시됐다. 이 경우 수능 과목별로 문항 수를 25문항으로 출제하고, 문항별 동일 배점(4점 또는 2점)이 설정된다.
이와 함께 학생부종합전형과 수능전형간 적정 비율을 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일부 학종 비율이 과도하게 높은 대학의 정시모집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9학년도 3월 적용 학생부 개편안에 따른 학생부 기재 양식 /교육부
■ 고교 학생부 항목 10개 → 7개로 간소화
고교 학생부 기재 항목은 현행 10개에서 7개로 줄고 정규교육과정 외 교육활동의 기재가 간소화된다. 과도한 스펙쌓기와 사교육 유발 요소를 제거하고 정규교육과정 위주로 학생부를 기재하도록 한 것이 골자다.
이에 따라 인적사항은 학부모 정보와 가족의 변동사항 등이 삭제되고, 학적사항과 통합된다. 수상경력이나 진로희망사항 항목은 삭제하고, 진로희망의 경우 창체 진로활동에 기재토록 했다.
사교육을 유발하거나 과도한 스펙쌓기 부작용이 지적된 방과후학교활동과 자율동아리, 학교 밖 청소년단체활동 기재는 금지하기로 했고, 소논문활동의 경우 정규 교과수업 중 지도한 경우만 기재하도록 했다. 자격증과 인증취득 상황은 현행대로 기재하되 대입자료로 제공하지는 않는다.
이 같은 학생부 개선방안은 정책숙려제를 통해 6월까지 최종안을 마련해 오는 8월 확정한 뒤 2019년 3월부터 각 학교급별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해 2021학년도에는 모든 학교급에 적용된다.
교육부는 이외에 논란이 많은 학종 공정성 제고, 수능 과목 구조, 수능최저학력기준, 대학별고사, EBS 연계율 완화 등은 국가교육회의 숙의·공론화를 통해 필요한 경우 결정하거나 의견을 제시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