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11일 내놓은 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수능 절대평가와 함께 기존 수시모집을 페지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이후 대학에 지원하는 내용이 골자다. 학생부 기재 사항도 간소화해 입시를 단순화하고 공정성을 강화해 학교 교실을 내실화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수능과 학생부의 변별력 약화의 문제가 여전하고, 통합선발시 전형기간 단축에 따라 까다로운 학생부종합전형 대신 수능위주전형 확대도 예상된다. 대입개선안이 확정되기까지 대입 혼란이 지속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우선 1년 전 논의됐다가 논란 끝에 발표가 연기된 수능 절대평가는 변별력 약화가 문제다. 여기에 수능 원점수공개 방안도 나와 더 복잡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수시·정시 통합시 전형기간이 기존 6개월에서 4개월로 2개월 단축돼 학생들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종합 판단하는 학생부종합전형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현행 학생부위주 전형이 축소되는 대신 수능위주 전형이 확대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수능 원점수가 입시에 반영될 경우에도 수험생들의 원점수 공개 요구도 제기될 수 있다. 현재 수능 성적표에 원점수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하늘교육 대표는 "수시와 정시 통합으로 전형 기간이 축소되고, 수능 절대평가로 인한 대량 동점자 발생으로 변별력이 약화될 것"이라며 "수시 수능최저등급 적용 의미가 퇴색하고 수시전형(학생부위주)이 현재보다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임 대표는 "전체적으로 절대평가로 인한 수능 변별력 약화에 대한 반대여론을 어느정도 의식한 것으로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1994학년도 첫 도입된 수능 원점수 시스템으로 부활시켰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교육계에서는 쟁점만 나열해 최종 확정안이 나올때까지 논란이 계속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번 개편안에는 수능 절대평가와 원서접수 시기도 추가돼 복잡해졌다"며 "국가교육회의에 교육 현장을 대표할 인물이 없다는 것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지난해 대입개편안 논의에서 한 발짝도 진전된 것이 없다"면서 "대입제도 개편 기본원칙이나 방향도 제시하지 못한 부실한 개선안"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