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이달 27일 예정된 남북정상회담이 점점 다가오고 있는 가운데 관련 준비를 위한 실무회담을 내주 초 추가로 갖는다.
의전, 경호, 통신, 보도 분야를 협의하기 위해서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13일 "다음 주 초에 실무회담을 갖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오는 18일로 예상되는 고위급 회담에 앞서 주요 분야에 걸친 실무회담을 모두 마무리짓는다는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미국과 조율 중인 비핵화 로드맵과 관련해 "우리 정부 나름의 해법을 갖고 있으나 공개하기 어렵다"며 "포괄적·일괄적 타결이라는 정부의 안에 (이행) 시한과 보상이 들어갈지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또 북한이 비핵화에 상응하는 대가로 미국에 5개항 제시했다는 일부 조간에 보도에 대해서는 "모르는 내용"이라고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김기식 금융감독원장 거취 문제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의 언급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있지만 공개하는 건 적절치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청와대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김 원장 논란과 관련한 유권해석을 의뢰한 것이 대통령의 뜻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여러분이 해석해달라"며 언급을 피하고 "대통령이 내용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청와대는 전날 김 원장에 대해 중앙선관위에 적법성 여부를 질의, 공식적인 판단을 받아보기로 했다.
청와대가 선관위에 보낸 질의에는 ▲국회의원이 임기 말에 후원금으로 기부를 하거나 보좌직원들에게 퇴직금을 주는 게 적법한지 ▲피감기관의 비용부담으로 해외출장을 가는 것이 적법한지 ▲보좌직원 또는 인턴과 함께 해외출장을 가는 것이 적법한지 ▲해외출장 중 관광을 하는 경우가 적법한지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청와대가 전날 선거관리위원회에 질의한 4개 사항 중 3개 사항이 선관위 업무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서는 "해당 사항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가 김 원장 거취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뭐냐를 묻는 질문에는 "여러분이 판단해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