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2030직장인 10명 중 7명 '이직 제의 받아봤다'... 18.8%는 '경쟁사서 이직 제의'

20~30대 직장인 10명 중 7명 이상이 '이직 제의를 받아봤다'고 답했다. /잡코리아



2030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이직 제의를 받은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직 제의를 받은 기업은 동종업계 기업이 가장 많았다.

16일 잡코리아가 20~30대 남녀 직장인 4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직 제의(스카우트 제의)를 받아 본 적 있는가'라는 질문에 10명 중 7명에 달하는 73.9%가 '받았던 적 있다'고 답했다.

이직 제의를 받은 기업 중에는 '주요 경쟁사가 아닌 동종업계 기업'이 60.2%(복수 응답)로 가장 많았고, '다른 업계 기업'도 45.0%로 많았다. 주요 경쟁사에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다는 직장인도 18.8%로 적지 않았다.

이직 제의를 한 당사자는 '헤드헌터'라는 응답이 66.9%로 가장 많았다. '전 직장 동료'도 29.2%로 10명 중 3명에 달했다. 이밖에 거래처(21.3%), 지인(19.5%)에게 이직 제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 제의를 받을 때 '연봉인상'이나 '근무환경 개선'을 제안받는 경우가 많았다. '이직 제의를 한 기업에서 어떤 조건을 제시했나'는 질문에 연봉인상(56.8%)이 가장 많았고, 이어 근무환경 개선(53.8%), 인센티브(스톡옵션·24.9%), 승진(22.2%) 순이었다.

연봉인상을 제안 받은 경우 기존 연봉보다 '500만~1000만원' 높은 연봉을 제안 받았다는 직장인이 37.4%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0만원미만'(34.2%), '1000만~1500만원'(14.4%) 순으로 조사됐다.

이직 제안을 받았지만 실제 이직하는 경우는 10명 중 2명 정도에 그쳤다. '이직 제의를 받고 이직했다'는 직장인은 23.7%였지만, 76.3%는 '정중하게 거절했다'고 답했다.

이직 제의를 수락한 이유로는 '높은 연봉 때문'(41.0%)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근무환경 개선(20.5%), 기업 평판이 좋아서(11.5%), 배울 점이 더 많은 곳이라서(11.5%) 등이었고, 이직 제의를 수락하지 않은 이유 중에선 '아직 이직할 때가 아니라는 생각에'(35.9%)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제시한 연봉이나 처우가 지금보다 크게 좋아지지 않거나(24.7%), 회사가 너무 멀어서(21.1%) 옮기지 않았다는 직장인이 많았다.

잡코리아 변지성 팀장은 "이직이 다양한 업무를 경험하면서 직무역량을 향상시키거나 연봉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는 있지만, 잦은 이직은 직무 전문성과 개인의 평판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면서 "특히 동종업계나 경쟁사로 이직을 하게 될 경우에는 평판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