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전쟁은 두 번 다시 있어선 안됩니다. 우리의 외교와 국방의 궁극적 목표는 한반도에서 전쟁의 재발을 막는 것입니다. 당장의 통일을 원하지 않습니다. 임기 중에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를 공고하게 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원년에 접어들면서 지난 1월10일 신년기자회견에서 신년사를 통해 국민들에게 전한 말이다.
문 대통령이 정한 목표를 향해갈 역사적인 남북정상회담이 17일로 꼭 열흘 앞으로 다가왔다.
남북 정상간 만남은 2000년 6·15 제1차 정상회담과 2007년 제2차 정상회담에 이어 11년 만이다.
16일 청와대에 따르면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는 오는 27일 열릴 2018년 남북정상회담 표어를 '평화, 새로운 시작'으로 확정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열린 준비위원회 회의에서 "현재 판문점은 남북 대치 상황을 보여주지만 회담 당일에는 대화의 상징이 돼 극적인 대비가 될 것이다. 국민께 구체적 준비과정을 알릴 필요가 있다"고 지시하기도 했다.
실제 군사분계선(MDL) 이남인 판문점 내 '평화의 집'에서 정상회담이 열리면 북한 최고지도자가 사상 최초로 남한 땅을 밟게 되는 역사적 의미가 있다.
남북의 분단을 대표하는 판문점에서 남북의 정상이 만나는 '아이러니'가 연출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이번 정상회담을 규정하는 최상위 화두가 '평화'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는 모습이다.
특히 최종 확정되지 않았지만 김 위원장이 남북정상회담을 위해 걸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올 경우 이번 정상회담이 남북을 넘어 전 세계에 던져줄 '평화 메시지'는 극대화될 수 있다.
이런가운데 두 정상이 이번에 만나 논의할 의제에 대해서도 초미의 관심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의 첫 만남인 만큼 의제에 제한 없이 허심탄회하게 서로가 제기하는 모든 문제를 논의한다는 데 남북이 공감대를 이룬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초점은 우선 비핵화에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관계자는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의 방남 등의 계기에 우리가 가장 강조한 사항이 비핵화 없이는 남북관계 발전도, 한반도 평화도 어렵다는 점"이라며 "북측이 이를 받아들였기에 남북·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된 것 아니겠느냐"고 전했다.
과거 두 차례의 정상회담이 남북관계 발전에 초점이 맞춰졌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그간 정상 차원에서는 본격적으로 다뤄진 적이 없는 비핵화가 주 의제다.
비핵화에 진전이 있어야 평화정착도, 남북관계 진전도 가능하다는 점은 우리뿐만 아니라 북측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4월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서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된 점도 '비핵화'를 두고 두 정상이 다른 말만 하기엔 시간적으로 부족할 수 밖에 없기도 하다.
일부에선 손에 잡히는 성과를 내놓을 수 있는 의제로 비핵화보다는 군사적 긴장완화를 비롯한 항구적 평화정착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남북이 정전협정을 어겨가며 중화기를 들여놓고 있는 DMZ에서 GP(전방 소초)를 뒤로 물리고 중화기를 없앤다면 군사적 긴장완화와 군비축소에 있어 분단 이후 가장 괄목할만한 성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산가족 문제와 개성공단 등 경제협력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다.
정부는 지난해 7월 '베를린 구상' 직후를 비롯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안한 바 있다. 그때마다 북한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번엔 정상간 만남이다. 남북이 사전에 인도적인 이산가족 문제와 경제적인 경협 등을 의제에 넣기보단 비핵화, 군사적 긴장완화 등 거시적인 문제에 집중한다는 게획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정상간 대화에서 분위기에 따라 얼마든지 나올 수 있는 주제가 바로 이산가족과 경협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