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4분기 여행 정보채널 이용의향 /세종대학교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여행자 스스로 정보를 찾기보다는 TV방송을 통해 주어지는 정보를 이용하는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세종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와 여행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매주 500명(연간 2만6000명 조사)을 대상으로 '주례 여행 행태 및 계획 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조사에서 여행전문 정보 사이트·앱, 블로그, 커뮤니티·카페, SNS, 지인추천·구전, 여행지 공식사이트, TV방송, 여행상품 구입채널 등 여행 정보채널 8종을 제시하고,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어떤 정보채널을 많이 이용하는지와 각 채널의 이용이 더 늘 것인지 비율을 확인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다.
조사결과 앞으로 여행시 더 많이 쓰게 될 정보채널은 국내여행과 해외여행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체로 선호하는 정보채널의 순서는 일치했다.
여행전문 정보 사이트·앱의 이용의향이 국내여행 시 39.3%, 해외여행 시 46.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블로그(각각 36.3%, 39.5%), 커뮤니티·카페(29.3%, 38.2%) 등의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국내여행보다 해외여행을 준비할 때 모든 정보채널의 이용의향이 더 높아 해외여행시 더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TV방송의 영향력이 급속하게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8개 정보채널 탐색이 감소한 가운데 국내여행을 위한 정보탐색이 8개 채널 평균 2.5%p 감소했으나, 해외여행은 감소폭이 0.6%p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국내여행과 해외여행 모두에서 증가한 유일한 정보 채널은 TV방송으로 해외여행을 위한 TV방송 이용의향이 전년보다 4.7%p 증가했다.
이 같은 결과는 여행정보 수집의 패턴이 '여행자 스스로의 노력으로 관심있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기'보다는 '가만히 있어도 자동적으로 주어지는 재미 위주 컨텐츠를 즐기는 것을 우선시'하고, 정보 획득은 부수적인 소득으로 보는 것으로 바뀐 것으로 분석됐다.
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는 "편안함을 추구하는 여행 소비자를 재미로 붙잡아 놓으려는 각종 TV방송 프로그램이 여행 수지 적자에 적지않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이 추세는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